바다 건너 히치하이크 - 미국에 간 카티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지음, 강혜경 옮김 / 시공사 / 2008년 10월
평점 :
품절


 

아스트리드 린드그렌이라는 작가에 대해 내가 알고 있는 것은 전혀 없다. [내 이름은 삐삐 롱스타킹]의 원작가라는 설명에도 ‘아 옛날 텔레비전에서 했던 그 삐삐...’정도이다. 사실을 고백하자면 난 그 드라마도 제대로 보지 않았다. 그저 머리를 이상하게 양 갈래로 묶은 빼빼 마르고 주근깨 투성이였던 이국의 소녀 얼굴만 어렴풋이 떠오를 뿐 남들처럼 작가의 이름에서 아련한 어린 시절의 추억조차도 느껴지지 않는다.

작가 아스트리드 린드그렌이 세상을 떠나자 그녀의 조국 스웨덴에서는 그 업적을 기리기 위해 아스트리드 린드그린 상을 만들었다고 하니 그녀의 작품이 얼마나 사랑받았는지 가히 짐작이 간다.




사전의 아무런 지식 없이 읽게 된 그녀의 소설. [바다 건너 히치하이크]

린드그렌이 동화 작가이고 제목 또한 다분히 동화적이라서 성인을 위한 동화 정도로 생각하고 비교적 가벼운 마음으로 책을 읽기 시작했다. 하지만 책장을  덮은 뒤 나의 생각은 180도 달라져 있었다.

왜 100개국이 넘는 나라에 80여 가지 언어로 그녀의 책이 소개되고 그녀에게 노벨상을 줘야 한다는 의견이 높았었는지 새삼 이해가 간다.




약 60여 년 전에 쓰인 작품이지만 지금 읽어도 별반 다르지 않은 미국 사회의 허와 실을 작가는 날카로운 시선으로 (그러나 글은 명랑하고 밝은 분위기를 유지하며) 콕 콕 잘 집어낸다. 비판을 비판에서 그치지 않고 생각을 생각에서 멈추지 않고 자신의 삶 속으로 끌어들이는 자세. 나아가서 비판을 위한 비판을 하는 오류를 범하지 않는 성숙함을 배우게 해 주는 책이다. [바다 건너 히치하이크]




20대 초반의 주인공 카티가 생애 처음으로 외국여행을 간 곳이 미국이다.

최초의 외국여행을 하면서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균형 감각을 가지고 새로운 사회를 바라보고 새로운 문화를 받아들이는 카티의 성숙함. 인종 차별에 대한 작가의 의식이 문장 문장마다 잘 녹아 있는 소설이다. [바다 건너 히치하이크]




이어지는 [베네치아의 연인]과 [아름다운 나의 사람들]에서 카티가 어떠한 여인으로 성장할 지 즐거운 상상을 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