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먼 자들의 도시
주제 사라마구 지음, 정영목 옮김 / 해냄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눈 먼 자들의 도시] 라는 제목은, 아직 이 책을 읽기 전의 독자들에게 보내는 작가의 가벼운 심술이 느껴진다. 이 제목은 마치 책의 주인공이 눈 먼 사람이며, 눈 먼 자의 입장에서 내용이 전개되고, 눈 먼 자가 작가의 대변인이 될 것 같은 느낌을 준다. 그러나 실제 내용은 작품에서 유일하게 눈이 보이는 사람인 의사의 아내에게 초점을 두어야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 이 가벼운 심술에 미소 지으며, 책에 빠져 보자.

 이 작품에서 형식적으로 가장 눈에 띄는 점은 인물들이 이름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특정한 이름을 가지지 않았다는 것은 몰개성적이라는 이야기다. 작품 안에서 몰개성적인 인물은 그 인물이 가지고 있는 직업, 성격 , 특성을 가진 대부분의 사람들을 의미한다. 그런데 이 작품에서는 눈이 보이는 한 사람인 의사의 아내를 제외한다면, 작가는 이름을 가지지 않은 주변 몇 명에게 동일한 양의 관심을 주고 있다. 이로서 그들은 그들이 가지고 있는 직업이나 특성을 가진 사람들만을 대표하는 것이 아니라 보통 사람들 전부를 상징하게 된다. 이러한 행위는 독자가 감정 이입을 쉽게 하고, 작품 내 인물들의 입장에서 고민하기 쉽게 됨으로서, 작품에 더욱 빠져들게 한다.

 이처럼 눈 먼 사람들의 입장에 공감하고 나서, 우리는 그들이 눈이 멀고 나서 겪는 것이 유사하고, 생각하는 것이 비슷하다는 것을 깨닫게 되고, 눈이 멀지 않은 유일한 사람에게 시선을 돌리게 된다. 아, 이 절망에 빠진 사람들 속에서, 이 타락해버린 사람들 속에서, 유일하게 눈이 보이는 이 사람은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어떻게 행동하고 있을까? 하고 의문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우리는 커다란 충격을 받게 된다. 눈이 멀지 않은 유일한 사람은 일반적으로 생각하기엔 축복일, 눈이 멀지 않은 것 때문에 그 누구보다도 상처받고 있으며, 누구보다도 고통스러워하고 있기 때문이다. 눈은 세계를 받아들이고 소통하는 수단이다. 그러한 눈이 정상적으로 기능하는 유일한 사람이 되었기에 소통하지 못하고 받아들이기만 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그녀는 눈 먼 자들 사이에서 유일하게 볼 수 있으나, 상대방은 자신을 볼 수 없기에, 혼자서 눈 먼 자들의 도시에서 살고 있으며, 진실로 눈이 먼 유일한 사람이기 되었기 때문에, 그녀는 고통스러워한다.

 [눈 먼 자들의 도시]의 처음부터 끝까지, 일명 백색 질병의 원인에 대한 이야기는 나오지 않는다. 아니 인간은 밝히지 못하고 지나갔다. 이 작품의 모든 백색 질병을 앓는 환자들은 갑작스럽게 시력을 잃는다. 그리고 다시 갑작스럽게 찾게 된다. 그리고 우리는 작품의 후반부에서, 성당 안의 모든 성상과 모든 그림의 눈이 가려져 있는 충격적인 사건을 보게 된다. 그리고 눈을 잃었다가 다시 얻은, 이 백색 질병을 앓았다가 다시 나은 사람들 사이의 차이점을 보게 된다. 첫 번째로 눈이 먼 남자는 변하지 않았다. 검은 선글라스를 낀 젊은 여자는 변했다. 우리는 여기에 주목하지만, 가장 충격적인 사실이 있다. 의사의 부인에 대해서만은, 우리가 알 수 없다는 점이다.

 인간의 범위 안에서는 이해할 수 없고, 너무나도 갑작스럽게 오고 가버린 백색 질병은 , 우리에게 깨달음을 주기 위한 병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