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의 힘 - 조직심리학이 밝혀낸 현명한 선택과 협력을 이끄는 핵심 도구
박귀현 지음 / 심심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는 육아를 하기 위해 휴직을 하였습니다.

남편은 회사에 출근을 하고, 저는 집에 아기와 둘이 덩그러니 남겨진 느낌이었어요.

대화가 되지 않는 어린 아기와 단둘이 남겨진 엄마들이 많이 하는 말이 있죠?

"어른과 대화하고 싶어요."

저도 어린 아기를 육아하며 세상에 혼자 떨어진 느낌을 받았고, 그때 누군가와 함께 하고 싶고 어딘가 소속되고 싶다고 느꼈었던 것 같아요.

그렇게 네이버 카페, 인스타그램, 카카오 오픈 채팅방 등을 가입하고 들락거리며 집단에 소속되기 위해 노력했었어요.

요즘 SNS를 하는 엄마들이 인풋 중독이라고 말하는 것을 종종 들을 수 있는데 아마 저처럼 출산 후 어딘가에 소속되고 싶은 마음을 채우며 다양한 모임을 하면서 나오는 말이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들어요.

인풋 중독, 집단지성 등의 용어를 접하며 집단의 힘에 대해 느끼던 차에 박귀현 교수의 <집단의 힘>이라는 책을 읽어보게 되었습니다.



박귀현 교수의 <집단의 힘> 책을 펼치고 머리말을 읽으며 고개를 끄덕이게 되었어요.

개인 심리와 집단 심리를 구분하고, 집단이 개인에게, 개인이 집단에게 미치는 영향을 아는 것만으로도 좀 더 분별력을 가지고 행동할 수 있다고 해요.

우리가 대세에 쉽게 휩쓸려가지 않고 분별력을 가지도록 불을 깜박여 주는 신호등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 집단심리학이라고 합니다.

우리는 집단의 일부가 되어 집단의 발전을 위해 힘을 쏟는데, 자기 자신과 자기가 속한 집단을 쉽게 동일시하여 집단의 일을 자기 일로 여기는 것이 인간 심리의 기본 원리하고 합니다.

이런 인간의 내집단 선호는 유아기 때부터 시작하는 것으로 태어난 지 6개월 정도부터 점차 외집단 사람보다 내집단 사람을 선호한다는 연구 결과도 책에 담겨 있어 놀라웠어요.



다수의 의견과 행동을 사람들이 의식적·무의식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은 사람들이 같은 집단에 속할 때 심해지는데, 자기 의견의 집단과 비슷하다고 믿으면서 집단의 결정과 판단이 극단화되는 경우가 많다고 해요.

또한 소수 의견을 가진 사람들도 인터넷에서 모여 그들이 다수가 되는 집단이 만들어지기도 하는데 그들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극단화를 진행한다고 해요.

다수의 의견은 대게 세상의 기준이 되어 집단 성원의 삶을 쥐락펴락한다고 해요.

책을 읽는 동안 다수가 나의 의견을 받아들이지 않을 때 어떻게 해야 나의 판단이 옳은지 알 수 있을까라는 고민이 들었어요.



작가는 인간의 뇌는 오래전부터 많은 정보를 처리하는 것을 포기하고 쉽게 결정하는 법을 택하는 것을 우리 머릿속에는 일하기 싫어하는 아주 게으른 사람이 살고 있다고 비유하여 설명해 줍니다.

평소 제모습에 대해 생각해 보니 제 머릿속에 게으름쟁이가 살고 있는 것 같아 반성을 하기도 했어요.

이 책은 저처럼 심리학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하는 사람들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설명되어 있어요.

책을 읽으며 의도하지 않았음에도 저 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집단 다수의 영향에 휩쓸리며 살고 있음에 놀랐었는데요.

책의 띠지에 집단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최상의 팀워크를 위한 리더십 노하우를 찾는 독자에게 추천한다고 크게 적혀있는데요.

집단의 리더는 물론 이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읽어보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