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놓아 버림 - 내 안의 위대함을 되찾는 항복의 기술 데이비드 호킨스 시리즈
데이비드 호킨스 지음, 박찬준 옮김 / 판미동 / 201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게 꼭 필요한 책이었다. 살면서 내가 사람들로부터 자주 들었던 말 중의 하나는 바로 그것이다. ‘넌 생각이 너무 많아’. 그들은 내게 생각을 멈출 것을 권했다. 하지만 마음처럼 쉽지만은 않았다.

어떤 좋지 않은 일이 내게 닥쳤을 때, 나는 오로지 그것에 나의 신경을 집중하곤 했다. 생각은 나를 자주 집어삼켰고, 나는 나의 생각과 감정에게 지배당하곤 했다. 스스로를 다스리지 못한 셈이다. 그 결과, 남들보다 스트레스에 취약해지는 순간이 잦아졌다. 외부는 고요했지만 나의 내부에선 언제나 생각과 감정들이 요동치고 있었다.

책의 저자는 바로 이러한 생각을 경계하라고 말한다.

오버씽킹(Over thinking)이라는 말이 있다. 이것은 지나치게 생각이 많아 걱정이 떠나지 않는 현상. 부정적인 생각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계속 되는 현상이다.

생각이라는 것은 부정적인 감정을 놓아버리는 데에 있어 방해가 될 뿐이라고, 대신 자신의 감정을 그저 생생히 느끼라고 저자는 책에서 말한다. 감정이 올라오는 순간마다 감정을 놓아버리는 것. 이러한 항복 기제야말로 자신의 마음을 지키는 가장 실용적이고도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말하며, ‘놓아버림기법을 소개하고 있다.

저자가 말하는 놓아버림 기법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감정에 저항하고 싶은 바람을 놓아버릴 것 (저항 때문에 감정이 지속되는 것이다). 감정에 저항하거나 감정을 바꾸려는 노력을 포기하면 감정이 달라지면서 강도가 약해진다. 둘째, 놓아버릴 때는 모든 생각을 무시할 것. 셋째, 감정을 분출하거나 겁내거나 비난하지 않고, 감정을 가지고 도덕을 따지지 않는 것. 요컨대 판단을 멈추고 감정은 감정일 뿐임을 알아보는 것이다.

언젠가 심리상담센터를 찾았던 일이 기억난다. 그때 나는 누군가로 인해 불쾌함을 겪은 상황이었다. 불쾌함이 스트레스로 전가되어 신체적 통증으로 나타날 정도였다. 내가 나의 이야기를 하자, 그걸 듣고 있던 상담사는 내게 다음과 같이 말했다. ‘그 사람에게 화를 내지 못했던 스스로를 용서하지 못하고 있는 것 같아요. 스스로를 용서할 줄 알아야 해요’. 그 말을 듣는 순간 나는 깨달았다. 타인에 대한 화는 결국 스스로에 대한 그것과 상관관계에 있다는 것. 나는 결국 본질적으론 나 자신에게 화가 나 있던 셈이었다. 이걸 깨닫고 나자 갑자기 마음이 평온해지면서 불쾌한 사건이 아무 일도 아닌 것처럼 여겨졌다. 신기한 일이었다. 어쩌면 나는 그때 나도 모르는 사이에 놓아버림기법을 행하고 있던 것인지도 몰랐다.

이것은 이 책의 자부심파트와도 연결되는 지점이다. 책에서 말하는 자부심이란 곧 자존심의 다른 말처럼 읽히기도 한다. 자존감이 낮을수록 자존심은 강해지는 법이라고 했다. 살다보면 상대에게 어떤 공격을 가하고 싶은 순간들이 있다. 그런 순간을 가만히 들여다보면 그 속엔 자존감의 위기를 느끼는 내가 있었다. 그랬던 것 같다. 자기중심을 잃지 않는다면 외부상황에 휘둘리지 않을 수 있다. 자기중심을 잃지 않으면서 동시에 자기감정을 내려놓는 일. 참으로 어려운 일이다.

이 책은 내게 꼭 필요한 책이었다. 하지만 저자가 말하는 놓아버림 기법이 감이 잘 잡히질 않았다. 저자가 일컬어 준 대로 실천해보려 했지만 쉽지 않았다. 내 안에서 올라오는 나쁜 감정들을 있는 그대로 두고자 했다. 하지만 어떤 압력만 느껴질 뿐, 놓아버렸다는 기분은 전혀 들지 않았다. 어쩌면 압력을 느꼈다는 것 자체가 무의식적인 억압의 반증일 수도 있겠다. 놓아버림 기법을 실천하기엔 아직 내가 가진 역량(?)이 많이 부족하다고 판단된다. 끊임없는 내적 수양과 자기성찰 없이는 쉽지 않으리라 짐작된다. 앞으로 여러 번의 시도를 통해 놓아버림에 조금씩 더 가까워질 수 있다면 좋겠다.

책을 통해 내가 당장 실천할 수 있는 것은 두 가지다. 생각을 멈출 것 (생각을 멈추기 위해 몸을 움직일 것). 그리고 자부심을 놓아버릴 것.

 


댓글(2)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리 2020-02-19 07: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계속 놓아버린다는게 헷갈려요, 어떤분이 홉킨스 박사님이 놓아버림은 ˝ 주여 당신 뜻대로 하소서~˝ 의미와 같다고도 하셨다더군요. 그걸 떠올리면 조금 도움이 되긴 하더라구요, 글 잘보았습니다.

whdgns1097 2021-07-09 20: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신의뜻대로하소서 마이클싱어의 책도보면도움되요
 
오후 네 시 블루 컬렉션
아멜리 노통브 지음, 김남주 옮김 / 열린책들 / 201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멜리 노통브의 오후 네시를 다 읽었다. 소설을 끌고 나가는 주된 인물은 주인공인 베르나르댕이다. 베르나르댕은 매일 정해진 시간마다 주인공의 집에 방문한다. 방문의 목적은 딱히 없다. 그냥 방문하는 것이다. 주인공인 는 매번 베르나르댕과의 대화를 시도하지만, 번번히 실패한다. 그도 그럴 것이 베르나르댕에겐 대화할 의지가 눈곱만큼도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는 그에게 질문을 몇 차례 던진다. 그에 대한 베르나르댕의 대답은 언제나 단조롭다. ‘아니오가 그의 주된 대답이다. 그러한 틀에 박힌 대답 이외엔 어떤 사교적인 행위도 그에게선 찾아볼 수가 없다. 그렇다면 그는 대체 왜 매일같이 이웃인 의 집에 방문하는 것인가. 이유는 알 수 없다. (만약 방문의 이유가 소설에서 분명히 드러났더라면 소설의 긴장감은 떨어졌을 것이다) 어떻게서든 베르나르댕으로 하여금 긴 대답을 이끌어내기 위한 그의 노력은 가히 필사적이다. 그러한 필사성은 이야기가 전개될수록 더해져 마침내 두 사람 간의 묘한 기류를 형성하는 주된 요소가 된다. 또한 의 시도는 마치 예스Yes’No’라는 대답만으로 이루어진 타인의 세계에 어떻게든 균열을 내고자 하는 몸부림처럼 보인다. 그러한 몸부림은 두 사람의 의미 없는 대화를 통해 고조에 다다르는데, 그걸 가만히 바라보고 있노라면 독자인 나로선 절로 웃음이 터져 나올 수밖에 없다. 이처럼 우스꽝스러운 풍경이라니. 이것은 블랙 유머스럽다. 한편으론 어딘지 모르게 베케트의 고도를 기다리며를 떠올리는 면도 있다.

 

사람은 스스로가 어떤 인물인지 알지 못한다. 자기 자신에게 익숙해진다고 믿고 있지만 실제로는 정반대이다. 세월이 갈수록 인간이란 자신의 이름으로 말하고 행동하는 그 인물을 점점 이해할 수 없게 된다. 그렇다고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다. 자신이 낯설게 느껴진다고 한들 무슨 불편이 있을 것인가? 그 편이 오히려 나을지도 모른다. 자신이 어떤 인간인지 알게 되면 혐오감에 사로잡힐 테니까‘_P.9

 

인간이 동물과 구별되는 점들 중 하나는 바로 자의식이다. 자의식을 갖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사회적인 관계다. 사람은 누구나 타자를 통해서 자신의 존재를 깨닫는다. 혼자라는 익숙한 상태에선 스스로에 대해 어떤 것도 새로이 발견할 수 없다. 타인과 부딪혀야만 알 수 있다. 스스로에 대한 평가 역시 마찬가지이다. 스스로를 객관적으로 평가한다는 것이 가능한가. 어떤 객관성/냉정함을 위해 우리는 때론 타인의 시선을 빌리기도 한다. 타자를 통한 스스로와의 거리두기가 확립될 때에야 비로소 사람은 누구나 자신에 대해 한번 더 숙고할 필요성을 느낀다. 에밀은 베르나르댕을 통해 스스로가 어떤 인물인지 비로소 깨달은 것이다. 그러나 나는 여기서 한번 더 질문하고 싶다. 그런 방식을 통해 깨달은 나 자신이라는 인간 역시 어쩌면 내가 만든 선입견은 아닌가. 그렇게 보면 인간이란 얼마나 유동적인 존재인지.

 

소설의 끝 부분에서 그는 결국 베르나르댕을 살해하고 만다. 그리고 그는 이렇게 말한다. ‘나는 내가 어떤 인간인지 더 이상 알지 못한다’. 이 문장을 처음 읽었을 때, 어디선가 에밀의 안도의 한숨이 들리는 것만 같았다. 동시에 섬뜩하게 여겨졌다. 그는 어쩌면 스스로가 어떤 인물인지 알아가는 데에서 오는 자기혐오감을 견디기 어려웠던 것인지도 모른다. ‘타자는 지옥이다라는 사르트르의 말처럼 어쩌면 그에겐 베르나르댕이 지옥과도 같은 존재였을까. 그러나 외국시인 아담 자가예프스키는 이런 말도 하지 않았는가. ‘타인만이 우리를 구원한다’. 스스로가 어떤 인물인지 일깨운다는 점에서 타자는 과연 구원일까, 아니면 지옥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