떠도는 땅
김숨 지음 / 은행나무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떠도는 땅

김 숨 | 은행나무 출판사





첩첩산중 두멧골에서 태어난 내가 러시아 땅을 떠돌며 살 줄이야

그들은 땅을 주겠다는 약속 뒤에 숨겨진 거짓된 강제 이주를 모른채 열차에 몸을 실었다!



중.일 전쟁이 한창이던 1937년. 간첩활동을 하는 일본인과 외모적으로 구별이 어려운 고려인들에 대해 스탈린은 강제 이주를 시킴으로써 간첩 색출을 도모했다. 극동 지역에 거주중이던 172천여명의 고려인은 그리하여 이주 명령을 받고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하게 된다. 살아남기위해 고국을 등지고 선택한 땅이었건만, 또 한번의 강제 이주로 화물열차에 올라야 했던 고려인들. 땅을 나눠준다는 말에 속아 아무것도 알지 못한채 열차에 올라탔다. 그들의 아픈 이야기를 본다. 책을 펼치자 마자 열악한 화물 열차안의 풍경이 가슴을 아프게 한다. 지저분하고 어둡고 배고픈 열차속 그들에게

그러나 희망만큼은 같았을 것이다.


한국의 대작가 김숨의 장편소설이었기에 남달랐던 기대감과는 달리 너무나 혼란스러운 도입부. 외국이름과 열차안에서의 지저분하고 쾌쾌한 풍경. 특히나 용도가 다른 두 개의 양동이가 주는 이미지. "엄마, 우린 들개가 되는건가요?"라는 의미심장한 문장들.. 열차가 멈췄을때 용변을 보고 부랴부랴 밥을 짓는 사람들. 빛도 없는 그 컴컴한 곳에서 오가는 알수없는 이야기.

손에서 뗄수없도록 하는 도입부 덕에 등장인물들이 순식간에 머리속에 깨알같이 박히면서 이 이야기가 내 가슴을 결국 아프게 하겠구나 예상했다.


역시나 우리 아픈 역사를 담고 있는 <떠도는 땅>. 조선땅에서 겪은 격동의 시간. 살아야 했기에 살기위해 나라를 떠날수밖에 없었던 고려인들은 내 나라가 아닌 타향에서 조차 한곳에 정착할 수없었다. 이 책의 제목이 떠도는 땅인 이유를 알게되면서 왜 우리는 이런 역사를 잊고 살아야하는지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이주하여 새롭게 정착할 땅에서 먹고 살기위해 씨앗를 종류별로 주머니에 담아 치마를 해입은 여인(소덕)은 며느리에게 자신이 죽더라도 치마를 벗겨가라 말한다. 제대로 먹지 못해 젖이 나오지 않는 여인, 아이가 죽자 달리는 열차 밖으로 죽은 아이를 던져야 했던 남자...

한결같이 아프고 아프다. 표지에서느껴지는 저 외딴 집 한채. 사방팔방이 외벽이다.


가난하고 힘이 없던 사람들, 나라가 지켜주지 못했던 사람들, 타국에서조차 버림받은 사람들... 고려인도, 조선인도, 러시아인도 아니었던 사람들.

책을 덮고나니 떠오르는 소설 초반에 나왔던 들개. 집도 절도 없는 떠돌아 다니는 들개와 다를바 없었던 그들의 삶. 그들의 인간으로서의 존엄이 과연 존재했던것인지 생각하게한다.


이소설이 내게 더 크게 와 닿았던 이유는 저자의 나이때문이었는지 모르겠다. 독자인 나와 같은 시대를 살았고, 같은 교과서로 공부했을 저자가 이렇게 의미있고 뜻깊은 이야기를 세상에 알렸다는 점에 존경을 표한다.

5월은 대한민국 국민들이 아픈 달이다. 인간의 존엄. 누군가 함부로 할수도 해서도 안될 5월에 이런 뜻깊은 작품을 만날수있었던것은 행운이었다.

많은 분께 권하고 싶은 도서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