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과 박티팔 씨의 엉뚱하지만 도움이 되는 인간 관찰의 기술
박티팔 지음 / 웨일북 / 2020년 3월
평점 :
절판





정신과 박티팔 씨의 엉뚱하지만 도움이 되는 인간 관찰의 기술

박티팔(지음) |웨일북(펴냄)






"살아 있는 동안 누워서 똥을 싸는 시간이 좀 짧았으면 좋겠습니다."

매일 아침 똥을 쌀 때마다 "아직은 이 지독한 똥 냄새를 나만 맡을 수 있게 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라고 감사 기도를 드린다.

( 책을 펼치자 마자.... )



태어나서 3년, 죽기 전 3년. 인간에게는 타인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숙명과도 같은 시기가 있다. 그 시간 중 죽기 전 3년은 조금이라도 짧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누구라도 하지 않을까? 나의 소원과도 같은 박티팔 씨의 이 한 문장의 소원은 책을 덮고 나서도 절대 잊지 못 할 문장이 되어 버렸다.


행복한 삶을 살기위한 가장 기본이 되는 건강. 의학의 발달로 신체적 질병이야 이제 크게 두렵지 않은 세상이 되었지만 정신적 질병은 어떻게 다스려야 할까? 저자 박티팔 씨는 그런 정신적 괴로움을 치료해주는 직업을 가졌다. 그동안 접해왔던 계발서, 에세이처럼 사람을 대하고 마인드컨트롤을 위한 도서라고 생각한다면 아마도 크게 놀라게 될 것 같다. 이 책은 매우 특별하다. 이 특별한 이유는 그녀의 직업때문이 아니라 그녀의 사람을 대하는 자세랄까? 관계에 대한 남다른 개념 정리랄까? 나 자신을 힘들게 하는 일상의 상황을 나를 위한 세계에 맞춰 인식하고 저장한다면 적어도 누워서 똥싸는 시간을 줄일 수 있을지 모르겠다.



사람이 느끼는 정신적 고통은 아마도 관계속에서 이루어지는 스트레스가 주 원인일 것이다.

수없이 보아왔던 계발서나 에세이와 다르게 이 책 <정신과 박티팔 씨의 엉뚱하지만 도움이 되는 인간 관찰의 기술>은 독자를 위한 원활할 관계 지침서가 아니었다. 저자인 박티팔씨 스스로의 감정 정리를 위해 쓴 글이라는 점이 매우 신선했다.


이 책을 보면서 박티팔씨가 너무나 궁금했다. 몇 해 전에 보았던 'B급 며느리'라는 책이 떠올랐다. 누가 보면 4차원? 괴짜?이려나?

사실은 나도 책을 보는 내내 그런 생각을 하기도 했다. 하지만 보편적이지 않게 느껴지는 박티팔씨의 삶의 태도랄까? 사람들을 대하고 생각을 이야기하는 부분에서 많은 생각을 자연스럽게 하게된다.

나는 '8:2 원칙'을 사용한다. 8은 긍정, 충족, 만족의 비율이고, 2는 부정, 거절, 기다림의 비율이다. 아이들이 놀이터에 가자고 하면 10번중 2번은 거절한다는 건데, 그 이유가 비가와서 일 수 있지만 단지, 내가 귀찮아서 일 수도 있다. 박티팔 씨는 사실 70점짜리 엄가가 목표다. '뭐 그만하면 그런대로 괜찮은 엄마'127p라는 의미로 그녀의 생각에 공감하지 않을 수 없었다.


아이들에게 뿐일까. 부모, 남편, 직장동료, 친구등 모든 관계에 있어 70이면 충분하다고 생각하고 있기에 박티팔 씨의 이야기가 그녀가 괴짜여서만은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박티팔 씨의 직장에서의, 가족의, 일상의 많은 에피소드가 담겨있는 이 책 <정신과 박티팔 씨의 엉뚱하지만 도움이 되는 인간 관찰의 기술>은 무겁지 않은 드라마를 보는 느낌을 준다. 때론, 참 남다르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고 때론, 박티팔씨가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가장 많이 든 생각은 역시 박티팔 씨도 나와같은 감정을 가진 평범한 사람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직업도 환경도 모두 다르지만 살아가는 모습은 크게 다르지 않음에도 상황 상황 대처하는 생각과 행동은 모두 다를것이다.


'나만 힘든가?' 라고 느껴진면이 책을 통해 다른 사람의 이야기도 한 번쯤 보면서 위안을 삼거나 조언으로 받아들여 볼 필요가 있지 않나 생각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