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기 구조 교과서 (2018 한국과학창의재단 우수과학도서) - 바이올린, 플루트, 피아노, 팀파니의 메커니즘 해설 지적생활자를 위한 교과서 시리즈
야나기다 마스조 외 지음, 안혜은 옮김, 최원석 감수, 야마다 마사시 외 / 보누스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악기구조교과서 라는 제목이지만, 우측 상단에 적혀져 있는 '바이올린, 플루트, 피아노, 팀파니의 메커니즘 해설'이라는 부제가 있음을 기억해야 된다.

  * 소리나는 물건을 음악에 사용한다면 악기라고 할 수 있다.


 악기의 정의에 따라서 무한에 가까운 악기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책의 처음에는 친절하게 악기란 무엇인가? 분류법에 대해 간단하게 이야기하며, 앞으로 어떤 종류의 악기에 대해 이야기를 풀어나갈지에 대한 간략한 지침이 적혀져 있다. 


 교과서라는 제목에  어울리게 악기에 대해 친절하게 설명을 해준다.


 1. 공기의 진동으로 소리가 나는 악기 (기명악기)

 2. 현의 진동으로 소리가 나는 악기 (현명악기)

 3. 막의 진동으로 소리가 나는 악기 (막명악기)

 4. 악기 자체나 작은 조각의 진동으로 소리가 나는 악기 (체명악기)

 5. 기타 악기 (전명악기)


                                             -악기구조 교과서  P.19



 그리고 챕터 안으로 들어가서는 소리가 나는 원리와 연주 방법 비교등 자세하고 본격적으로 내용들을 서술하고 있다.



 말소리와 노랫소리가 다른 이유


  음 길이의 변화, 노래는 리듬이 그렇듯이 가사의 각 음절의 지속 시간이 음가에 맞춰 조절되며 주로 모음 부분이 사용된다. 목소리의 높이는 근육이 제어하는 것으로, 말할 때는 거의 연속적으로 바뀌지만 노래할 때는 악보에 적힌 음표의 높이에 맞춰 단계적으로 바꿔야 한다.

 또한 사람의 목소리에는 높이와 크기에 아주 약한 미세 진동이 있다. 이러한 떨림이 있기 때문에 목소리가 버저 음처럼 들리지 않는다.


                                                         악기구조 교과서 P.62~63


 위와 같이 의문을 지닐 수 있는 부분에 대한 과학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한 설명과 해설, 그리고 쉽게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사진이 첨부되어 있다. 


 


 그리고 이 책은 전부  이며, 실제 사진을 놓고 그 부위에 대한 명칭과 설명이 한 눈에 알아보기에 좋다.



 깔끔하게 정리된 문단과 구조, 그리고 매 페이지마다 사진이 첨부되어 있어서, 어려운 내용도 쉽게 접할 수 있으며 흥미도 생긴다.


 

 바이올린은 오래될수록 좋다?의 해답이 책 속에 담겨져 있습니다. 그 외에도 다양한 이야기과 생각치도 못 했던 점들에 대해서 알아갈 수 있는 좋은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