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종 최선의 방법은 사람들에게 스스로 조심하도록 당부하는 것이다.

기업자들이 디폴트 펀드에 의존하기보다는 나름의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도록 독려했다.

능동적인 선택자들은 자신의 과업을 그리 훌륭하게 수행하지 못했다.

투자에 관해, 안다고 생각하는 주식을 구입하는 것이 언제나 합당하지만은 않다.

기술주가 급상승세를 보이던 기간에 투자자들이 기술주에 치우친 투자 성향을 보였다는 점도 그리 놀라운 일은 아니다.

과거의 수익률이지만 투자자들은 전통적으로 과거의 수익률과 미래의 예상 수익률을 명확하게 구분하지 못한다.

현상유지 편향은 스웨덴에서도 건재하다.

괴거의 실적이 미래의 실적을 예견한다는 실질적인 증거가 전혀 없는데도 말이다.

가장 분명한 문제는 바로 복잡성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주 크다‘가 라틴어로 ‘maximus‘이고 ‘동그라미‘는 영어의 ‘circle‘처럼 ‘circus‘여서 로마인들은 이 경기장을 대원형 경기장 즉 서커스 맥시머스라고 불렀다. - P76

하지만 막상 필요한 순간에는 친구들이 나타나지 않는다며 한탄을 하는 경우도 흔하다. - P78

오늘날까지 ‘경례‘라는 뜻으로 알려져 있는 salute는 워래 ‘건강‘이라는 뜻이다. - P82

원래 카리스마는 ‘힐링 능력‘이라는 뜻이다. - P86

고대 그리스어로 ‘카리스‘가 ‘축복‘이다. - P88

카리스마는 점차 ‘사람을 이끄는 능력‘으로 의미가 발전했다. - P88

"알 수 없는 것은 조정할 수도 없다." - P91

아랫사람들의 속마음을 헤아리지 못하는 사람은 그들을 리드할 수 없기 때문에 리더는 아랫사람이 속마음을 터놓을 수 있도록 항상 노력해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 P9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로 가입이 수월할 때 가입률이 급증한다는 사실이다.

그러나 이러한 모든 결정은 정기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첫째, 단기적인 변동에 과도한 영향을 받을 것이다.

둘째, 어림 감정을 토대로 결정을 내릴 가능성이 높다.

기술 펀드가 정점에 달했을 때 가장 공격적으로 매수하고 가격이 하락한 후에 매도하는 행태를 보인 것이다.

분별 있는 분산투자와 고지식한 분산투자는 전적으로 다르다.

이러한 시각적 정보에 정기적인 피드백을 결합하는 것도 좋은 아이디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를 RECAP이라고 칭한다. ‘기록하라(record)‘,‘평가하라(Evaluate)‘,‘대체 가격과 비교하라(Compare Alternative Prices)‘를 줄여 만든 두문자어다.

사회과학 연구에 따르면, 선택안들이 많을수록 그리고/또는 보다 많은 차원으로 다양해질수록 사람들이 단순화 전략을 채택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협업 필터링은 선택 설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지혜만큼은 어떤 정당도 독점할 수 없기에 하는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런 점에서, 별도의 구좌에 돈을 넣어놓는 것은 크리스마스 클럽의 경우에서처럼 높은 비용이 따르는 또 하나의 자기 통제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사람들은 하우스 머니라고 생각하는 돈으로는 보다 기꺼이 도박에 참여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점에서, 별도의 구좌에 돈을 넣어놓는 것은 크리스마스 클럽의 경우에서처럼 높은 비용이 따르는 또 하나의 자기 통제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심적 계좌는 과도하게 돈을 소비하고 싶은 욕구를 통제해줄 테니까 말이다.

결론적으로, 사람들은 자신이 말하는 광경을 타인이 보게 된다는 사실을 알고 있을 경우에 동조하는 경향이 더 높아진다는 얘기다.

이 모든 것이 강제나 위협 또는 강압에 의한 것이 아니라 창의적인 넛지를 통해 일어난 일이다.

사람들은 당신이 생각하는 것만큼 당신에게 관심을 갖지 않는다고 것이다. (학생들에게 타인의 시선 덜 신경쓰도록 제시!)

사람들에게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행동을 하도록 넛지를 가하고 싶다면 절대 그들의 기존 행동이 사회적 기준보다 낫다는 사실을 알려선 안 된다는 것이다. (애너지 소비량 예시)

바로, 사람들의 의도를 측정하는 동안에 사람들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사실이다.

우리는 종종 사람들을 특정한 방향으로 밀어붙이기보다는 모종의 작은 장애물을 제거함으로써 보다 수월하게 바람직한 행동을 독려할 수 있다.

해당 상황의 국면들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전환시키기가 힘들기 때문에, 사람들은 넛지를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한 가지 안타까운 점은,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결정들 가운데 일부는 연습할 기회도 없이 찾아온다는 사실이다.

경제학은 인생의 커다란 결정들을 설명하도록 도와야하는데, 이러한 결정들은 연습의 기회 없이 찾아온다는 점이다.

적절한 학습의 기회가 제공되지 않으면 연습조차도 완벽을 만들어 내지 못한다.

일부 사람들이 선호하는 라벨을 토대로 와인을 선택할 경우에는 아무런 해를 입지 않겠지만, 많은 사람들이 라벨을 토대로 와인을 선택하기 시작하면, 매력적인 라벨이 붙은 와인의 가격이 과도하게 치솟을 것이다.

자유를 사랑하는 많은 사람들이 선호하는 ‘선택 요구‘가 때로는 최선의 방도가 될 수도 있다.

완성후(postcompletion)오류라고 일컫는다. 기본적인 개념은, 사람들은 주요 임무를 끝내고 나면 그 이전 단계들에 관련된 사항들을 잊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카드를 먼저 뽑아야만 현금을 인출할 수 있다면, 카드를 잊고 가는 일이 없을 것이다.

하루에 한 번이 하루에 두 번보다 더 나은 이유는 분명하다. 약을 먹어야 하는 횟수가 늘어날수록 먹어야 한다는 사실을 잊을 확률도 그만큼 늘어나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