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는 정보가 너무나 많아서 우리가 미처 처리하기도 전에 수많은 정보가 우리 의식 속으로 밀려들어와 서로가 서로를 밀어내고 있는 것이다. - P69

우리가 의식 속으로 어떤 정보를 입력하느냐가 중요하다. 결국에는 이 정보들이 우리 삶의 질을 좌우한다. - P72

정보는 두 갈래의 길을 통해 우리 의식 속으로 들어온다. 하나는 선택적 주의를 통해서이고, 다른 하나는 생물학적 명령이나 사회적 명령에 순종하는 습관화된 주의를 통해서이다. - P72

우리는 이 에너지를 어떻게 활용하는가에 따라 스스로를 창조해나간다. 그리고 이 에너지는 우리가 원하는 대로 활용할 수가 있다. 즉 주의는 경험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필요한 가장 유용한 도구인 것이다. - P77

어떤 순간에도 우리는 우리의 자아에 대해 완전ㄴ히 알지 못한다. - P78

이런 상태일 때 나타나는 기본적 양상은 항상 같다. 즉 개인의 목표와 갈등을 일으키는 정보가 의식되기 시작한다. - P83

우리가 처리하는 정보는 자아와의 관련성에 따라서 평가되고 분석된다. - P85

심리적 엔트로피의 반대 상태는 최적 경험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의 인식 속으로 들어온 정보가 우리의 목표와 일치하면 심리적 에너지가 무리 없이 작용한다. - P86

플로우 상태에서 우리는 심리적 에너지를 통제할 수 있다. - P88

분화라는 것은 자신을 유일하고 고유한 존재로 여기며 나아가려는 움직임으로, 자신을 다른 사람에게서 분리하려고 하는 경향을 말한다. - P89

한편 통합이라는 것은 그 반대의 경우로, 다른 사람이나 다른 아이디어와 합하려는 경향을 말한다. 복합적 자아란 이 두 가지 경향을 성공적으로 결합시킨 자아를 일컫는다. - P89

통합이 없다면 분화된 시스템은 그저 뒤죽박죽인 상태일 뿐이다. - P90

분화만 되고 통합되지 못한 사람은 개인적으로는 큰 성취를 이룰 수 있겠지만 자칫 지나친 이기주의에 빠지기 쉽다. - P90

반대로 통합만 되고 분화되지 못한 자아는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는 소속감과 안전감을 느낄 수 있겠지만 자율적인 개성을 갖기는 어려울 것이다. - P90

플로우에 도달하는 지름길은 없다. - P9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귀납적 사고는 논리적으로는 정당화되지 않지만 우리가 버릴 수도 없고 어쩔 수도 없는 인생의 관습이라고 했습니다. - P74

다만 그렇게 귀납적으로 추론한 내용을 결론으로 여기지 말고, 계속 시험해봐야 할 가설로 간주하면 됩니다. - P75

그러니까 표면적으로 어떤 규칙성이 보이더라도 그것은 우연일 뿐이고 더 이상 일반화하려고 노력할 가치가 없다는 것입니다. - P79

인간의 경험이란 본질적으로 객관성이 결여되어 있다. - P8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90년대생은 자신이 하는 일의 의미와 성장을 중시하는 세대입니다. - P376

사람은 제한된 ‘틀‘ 이 주어질 때 더 창의적이고 좋은 의견을 낼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 P382

아무리 좋은 메시지라도 시각 또는 청각 이미지가 반대의 이야기를 하고 있다면 왜곡될 수 있다는 뜻이었다는군요. - P392

사소한 말투, 행동의 영향력은 생각보다 강력합니다. - P397

원하는 행동이 있으면 행동만 그냥 담백하게 이야기하면 된다는 겁니다. - P409

행동 너머까지 질책하거나 무조건 자신의 기준을 내미는 것은 월권입니다. - P4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불확실한 상황에서 결정을 내리는 건 항상 겁이 나는 일입니다. - P226

이때 누군가가 객관적이면서 마음을 움직이는 근거를 말해준다면 큰 힘이 되겠죠 - P22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얼마나 만들지는 중요하지 않은 시대다. 얼마나 팔릴지가 중요한 세상이다. - P215

대신 남의 시선에서 자유로울 수 있으면 된다. 내 노동과 자유를 남들의 시선과 바꾸면 된다. - P223

내가 궁금한 모든 것은 가격에 반영되어 있다. - P231

그러나 절대 팔지 않고, 지속적으로 보유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 P243

인간이 살아가는 세상은 불확실로 가득하기 때문에 ‘메뉴얼‘을 만들어야 한다. - P260

신분질서가 무너지자 소유권이 생겼다. - P261

그러니 신분사회에서는 생길 리 없던 창의성과 생산성 향상이 일어났다. - P261

그런데 원칙을 세우기까지는 시행착오라는 저마다의 원칙이 필요하다. - P262

그렇다 하더라도 메뉴얼은 항상 불완전하다는 의심을 거두어서는 안 된다. - P26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