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록달록 공화국 1 - 아이들만 사는 세상
알렉상드르 자르뎅 글, 잉그리드 몽시 그림, 정미애 옮김 / 파랑새 / 2009년 1월
평점 :
절판


왜 알록달록 공화국일까 라는 궁금증을 갖고 읽게 되었는데, 책을 잡고 무심코 읽어내려가다 그만 저녁 늦게까지 이 책을 읽고야 말았다. 책이 갖고 있는 흡인력이 강해서였을까. 원래 조금씩 읽어내려가는 것이 나의 체질인데, 나도 모르게 끝까지 읽게 된 책이다.

이 책의 이야기는 열 번째 생일날 아침, 가족들에게 놀림을 당하고 델리브랑스 섬(’해방’이라는 뜻)을 가로질러 뛰어가는 소년 ’아리’에게서부터 시작된다. 축복받아야 할 생일이지만, 출생의 비밀로 인해 가족의 일원으로 대접받지 못하고 오히려 냉대와 멸시를 당해야 하는 아리의 모습에 정말 마음이 짠했다. 사실 그것이 아리의 잘못인가? 모든 잘못은 어른들에게 있는데, 그 잘못의 결과로 아이들에게 엉뚱한 대못질이 된다는 자체가 참으로 마음이 아팠다.
그러나 사실 우리 어른들은 모습과 그 경중만 다를 뿐, 잘못이 없는 아이들에게 괜시리 잘못에 대한 책임을 전가시키려고 하는 나쁜 습성을 가지고 있다. 
  
울면서 학교에 가도 잔인한 행동을 일삼아 ’따귀 선생’으로 통하는 담임선생에게 학교의 제1규칙을 귀에 못이 박히도록 들을 뿐이다. "학교에서 일어나는 그 어떤 일도 부모님에게 얘기해서는 안 된다. 학생은 선생님의 권위에만 복종해야 한다." 고 말하는 일명 따귀선생의 횡포 또한 무지막지하다. 잔인하고 비겁하기까지한 따귀 선생은 그야말로  비정상적인 인간상이다.

일부러 아이들을 혼내주고, 겁을 주면서 자기에게 유리하게 조종하기 위해 아이들이 낙서한 척 꾸며놓고, 그 일을 아이들에게 뒤집어쒸우려고 했지만 다행히 그 장면을 보게 된 아리가 그 사실을 폭로함으로써 자신의 계략이 드러나게 된 따귀 선생은 아리를 미워한다. 아니 증오한다.

그런데 이런 이야기를 읽어내려가면서 드는 의구심은 도대체 무엇이 알록달록 공화국이란 말인가 였다.
한참 읽어가다보니 드디어 알록달록 공화국의 실체가 보여지기 시작했다.

일의 시작은 섬의 모든 어른들이 배를 타고 나가면서 시작되었다. 따귀 선생에게 아이들을 맡긴 채로 옆 섬을 도와주러 간 어른들은 아무리 시간이 흘러도 돌아오지 않고, 이에 따귀 선생은 아이들을 더욱 자기 수하에 두고 부려먹으면서 아이들을 괴롭히게 된다. 그러자 이에 반기를 든 아리와 아리를 따르는 아이들이 따귀 선생에게 반기를 들게 되고, 결국 따귀 선생은 죽게 된다.

그리곤 드디어 섬에 어른이라고는 하나도 없는, 오직 아이들만의 세상이 된 것이다.
아이들은 옷이 필요하면 몸에 물감으로 자신이 원하는 옷을 그려넣고, 즐거운 놀이를 하면서 자신들의 나라를 만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자신들만의 규칙을 만든다. 물론 그 규칙 중에는 지금의 우리가 보기엔 황당(?)한 규칙도 없진 않지만 나름대로의 논리로 아이들은 규칙을 만들고 거기에 적응해서 자신만의 유년기 나라를 세워가게 된다. 다프나의 제안에 의해 만들어진 결혼 놀이나, 카시미르가 만든 학교 놀이 다 나름대로 시사하는 바가 있다.  놀이하는 모습들을 통해 아이들의 세계와 그리고 어른들의 세계를 엿볼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