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 정상적인 아픈 사람들 - 실화를 바탕으로 영혼의 싸움터를 추적한 르포
폴 김.김인종 지음 / 마름모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건강한 가족 생활을 지속하지 못하고 배우자를 의심하거나, 가족 구성원에게 폭력을 가하거나, 가족과 사회로부터 고립되는 실제 사례들을 소개한다. 그런 상황을 지켜보는 가족들이 정신질환에 대해 무지해 단순히 ‘귀신이 들었으니 기도를 하자’거나 ‘이 아이는 원래 게으르고 의지가 약하다’라고 치부할 경우 상황은 최악으로 치닫는다. 그들의 내면을 들여다보면 뇌의 한 부분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 이 때는 기도가 아니라 치료가 필요한 시점이다. 그들이 보내는 신호를 놓쳤을 때, 안타깝게도 그 존재 또한 잃게 된다.

뇌질환 치료는 의지로 되지 않는다. 적절한 약물 치료와 전문가의 상담 치료가 필요하다. 위염에 걸렸을 때 내 의지만으로 계속 음식을 먹는다고 병이 낫지 않는 것과 같다. 가까운 사람의 말과 행동이 평소와 다름을 느꼈다면, 꼭 정신건강의학과를 찾아갈 수 있도록 설득해야 한다.

이 책을 읽어보고 싶었던 이유는 자기애성 인격장애(NPD: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를 가진 가족 구성원으로부터 내 삶을 지키는 방법을 알고 싶었기 때문이다. 이 책의 사례에서는 저자의 개입으로 회복된 가족들이 많다. 하지만 내게 그런 자원이 없다면 그저 그들로부터 거리를 두고 살아가는 것도 해답이 될 것 같다. 그들이 내 삶을 갉아먹고 있다는 것을 알면서도 연민이나 책임감을 느껴 떠나지 못하는 것은 서로에게 어떤 도움도 되지 않는다.

저자는 책 속에서 “정신질환은 착하고 똑똑한 청년들이 많이 걸립니다. 남에게 스트레스나 미움, 분노를 풀어내지 못하고, 자신이 다 감당하고 참고 지내다가 뇌기능장애가 오는 겁니다.”라고 수차례 말한다. 부모의 기대에 맞춰 살아가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자란 자녀는 자기 스스로에 대해 만족하며 행복하게 살기 어렵다. 스스로 하고 싶은 것을 고민하고, 실패하더라도 가족과 주변으로부터 위로받고 지지받는 경험을 통해 사람은 성장한다. 젊은 층 사이에서 정신질환이 급격하게 늘어난 현재, 시사하는 바가 큰 책이다.

#마름모출판사 #도서제공 #서평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