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맘대로 고전 읽기 - 신화부터 고대까지 동서양 역사를 꿰는 대표 고전 13
최봉수 지음 / 가디언 / 2020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기대하고 있던 가디언 출판사의 <<내 맘대로 고전 읽기>>.

고전은 참 손에 닿을 듯이 닿지 않는 어렵고 멀게 느껴지는 측면이 분명 있다.

저자 최봉수 님의 말씀처럼, 이 책으로 고전에 즐겁게 입문할 수 있다면 그걸로 된 것 아닐까?

저자소개가 흥미로웠는데

흔히들 적는 어느 대학 졸업 무슨 과정 졸업 수료

이런 소개가 아니고

겸손 겸양의 태도가 묻어나는 소개라

저자소개만 한번더 읽어보았다.

이 분 정말 어떤 분이실까?:)

고전의 재해석, 고전을 내 맘대로 해석하기. 듣기만 해도 재밌다.

입에서 입에서 전해내려온 고전은 한 가지 버전이 아니라, 지은이마다 작가의 생각을 더하고 더해 여러 갈래 버전이 존재하며,

이는 읽는 독자인 우리들도 우리들 나름대로 고전을 재해석해볼 여지가 충분히 있다는 뜻이다. 그래서 흥미롭구나.

고전은 죽어있는 문학이란 생각을 했는데, 읽다 보니 하물며 그리스 로마신화 속 신의 모습들만 봐도

인간의 모습들이 녹아 있다. 마치 인간처럼 지금 여기서 같이 살아 숨쉬는 것 처럼.

고전은 낡고 오래된 거라 재미없을 것 같다는 편견을 가진 사람이라면, 최봉수님의 책을 통해 고전 자체에만 집중하기보단 고전 플러스 알파, 즉 곁다리 배경지식 시대상황 흐름 등을 간단히 훑어보는 것도 괜찮은 고전읽기의 스타트가 되겠다 싶다.

그나저나 나는 그리스로마신화의 등장인물들의 이름 외우기가 어렵다. 어려워 외쿡 이름...

읽으려고 사둔 벽돌책 헤로도토스의 <<역사>>가 나와서 뜨끔했다.

내가 읽으려다 포기한 책이네 하며...

잊고 있었던 동서양 고전 DNA가 스멀스멀 올라옴을 느끼며...

                            

에우리피데스의 <<메데이아>>, 너무 서툰 사랑 이야기

사랑하는 자식에게 배우자에 대한 분노를 대신 퍼붓고 미안해하는 심리 상태를 '메데이아 콤플렉스'라고 한다.

메데이아는 그리스 신들도 혀를 내두를 정도로 잔인한 마녀다. 오직 사랑을 차지하기 위해 모든 관계를 다 버리고 모든 윤리를 다 무시했다. 그래서 그 사랑이 배신당하자 자신을 저주하듯 자신의 세계를 불태웠다. 사랑이 서툴렀던 거다. 너무 서툰 사랑은 사랑이 아니었음을 메데이아만 몰랐다. 에우리피데스는 특별히 메데이아의 독백을 연극에 많이 넣었다. 그녀의 표현이 이해하기 힘들 만큼 거칠지만 그녀의 마음만은 그렇지 않음을 온전히 관객들에게 전해주고 싶었을 것이다. 83쪽

자유롭고 살아 있는 <<사기>>가 된 까닭

<<사기>>의 특징은 무엇보다 현실적인 역사관을 들 수 있다. 사마천은 명분보다 실질을 중시했다. 그의 역사관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양상을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 역사 본연의 자세라는 거였다. 역사에 그 어떤 당위란 없다는 것이다. 그래서 제왕을 다루는 본기에 항우와 진시황을 포함했을 뿐만 아니라 여성인 여태후도 당당히 기록했다. 당시의 그 어떤 이데올로기적 명분이 아니라 누가 그 시대의 대세였는지를 기록하는 장이 본기라는 원칙을 지켰다. 153쪽

사마천은 결심한다. '하늘이 구상한 대로 세상과 인물을 재단하지 않겠다. 때로 하늘을 원망하고, 운명을 한탄하는 인물들을 통해서 세상을 그려보겠다. 그것이야말로 진정한 역사가 아니겠는가.' 이것이 '백이열전'을 통해 사마천이 말하고 싶은 메세지가 아닐까?

167쪽


. 그리스 로마 신화는 다른 신화들과 달리 정치적, 종교적으로 단일 교단이 있어 신들의 정체성을 통일시킬 주체가 없고, 다른 신화들과 달리 특정 민족 집단이나 전설에 뿌리를 두지 않아 후세 작가들에게 자유롭게 상상할 여지를 주었기 때문이다. 더욱이 알다시피 그리스는 단일 국가가 아니라 다수 도시 국가, 폴리스 연합체다 보니 폴리스마다 주신을 달리 세우고, 그 주신을 신격화하는 과정에서 인물(신)과 사건을 달리 해석한 까닭이다. 1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래서 산에 산다
최성현 지음 / 시루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성현 님은 자연농법으로 농사를 짓고 지구와 환경을 생각하고 실천하는 철학 모임을 주관하시는 분으로 우연한 기회로 알게 되었다. 다음카페에도 가입해 그 모임의 철학, 생각을 알아보고자 한 적이 있었다.

모두가 농약을 써서 토지가 자연의 힘을 회복하기까지 기다리지 않고 비교적 편하게 농사를 짓는 시대에,

자연 스스로의 힘을 믿고 기다리고 사람의 힘이 몇 배 더 들어가도 자연농법을 고집하시는 분이라 듣고 대단한 분이시다 생각하고 있었는데, 가디언 출판사에서 그의 신간 <<그래서 산에 산다>>가 나와서 반가웠다.

결혼 전에는 등산동호회에 들어 등산을 즐겼는데 결혼기간중 산을 포기하며 스트레스 받아가며 살아왔다.

아기 좀 키워놓고 산을 다시 찾을 거다! :) 그게 내가 원하는 바라는 것을 알기 시작했다.

책을 읽으며 소소한 행복과 재미를 느꼈다. 최성현님의 글은 진정성이 담겨 있어 허투루 읽을 수 없었다.

인디언-법정-데이비드 소로-니어링 부부-후쿠오카 마사노부-야마오 산세이-리틀 포레스트를 잇는, 같으면서도 다른 바보 이반 최성현의 세계!

책 표지의 이 문구만 봐도 확 끌린다.

신이란 무엇인가? 산천초목 그 자체가 신이다. 작은 새가 신이고, 배추와 무가 신이다. 나비가 신이다. 무심히 볼 때 자연의 모든 것이 신이다. 그 밖에 다른 신은 없다.

지구에는 꽃이 피고, 나비가 춤추고, 작은 새들이 노래한다. 이 이상의 천국은 없다. 신이 에덴동산으로부터 인간을 추방했다기보다 인간이 자신의 지혜로 늘 신을 쫓아내고, 죽이고 있다고 해야 한다.

9쪽

자연농법이란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가 출발점이자 결론이고 수단이기도 하다. 땅을 갈지 않고, 농약과 비료를 쓰지 않는다. 김매기도 하지 않는다. 이 네가지를 원칙으로 한다.

9쪽

하지만 그곳에서의 내 인생은 결코 순탄치 않았다. 나는 그 산에 사는 동안 산전수전대학에 다녀야 했다. 그 대학 서바이벌학과에서 돈벌이, 1인 1기와 같은 과목을 이수해야 했고, 부부학과에서는 부부 싸움, 이혼, 새 출발과 같은 주제의 공부를 해야 했다. 일본과 뉴질랜드로 수학여행을 가기도 했다. 졸업? 아직 못 했다. 아마도, 아니 틀림없이 죽을 때까지 어려울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래서 산에 산다
최성현 지음 / 시루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확 끌어당기는 프로의 언어
사이토 다카시 지음, 이정환 옮김 / 나무생각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의 예상과는 달리 <<확 끌어당기는 프로의 언어>> 저자 사이토 다카시는 구체적인 연사의 스피치 장면장면을 묘사하고,

그들의 스피치에서 탁월함, 강점, 배울 점을 뽑아 나열하고 있었다.

스피치에 관한 기본적인 지식, 실전 스피치 방법을 총망라하여 다루는 스피치 서적은 읽어본 적이 있는데,

마틴 루서 킹, 넬슨 만델라, 스티브 잡스, 왕가리 마타이, 이나모리 가즈오, 무라카이 하루키 등 세계적으로 큰 영향력을 끼친 사람들의 명연설을 분석한 비법서는 처음이다.

누군가가 대신 써준 스피치 원고를 읽어내려가는 연사들도 있겠지만,

결국 그 대본을 본인 것으로 소화해 멋드러지게 대중 앞에서 발표해야 하는 것은 연설자 본인이기에,

스피치 원고를 효율적으로 써내려가는 것도, 써내려간 원고를 훌륭하게 소화해 내는 것도

지난한 과정이란 생각이 든다.

결국, 내가 얻고 싶은 기술도 '사람을 끌어당기는 기술'이다.

어떻게 남의 마음과 공감을 얻어낼 수 있는가가 화두인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내가 남의 말에 경청할 줄 알아야 한다는 저자의 말이 나오며 책이 시작된다.

일본서적은 우리나라의 그것에 비해 확실히 손바닥 안에 싹 감기게 작은 사이즈의, 두껍지 않은 것들이 대부분이라,

이 책도 후루룩 읽기에는 안성맞춤이다.

단, 스피치는 남 앞에 직접 서서 내가 내 입으로, 내 온 몸으로 오들오들 떨며 말해보는 시도를 거듭함에 그 효과가 있기에,

실전이 제일 필요한 것이란 것.

스티브 잡스의 연설문 등 유명 연설문이 등장하는데,

사실 그 어떤 유명 연설문도 한 줄 한 줄 꼼꼼하게 읽어본 적 없는 나로서는,

인용된 연설문 자체가 주는 감동도 무시할 수 없는 책이었다.

사이토 다카시의 분석이나 해석이 없더라도, 연설문 자체의 여운은 '그래, 이렇게만 말하면 소원이 없겠다. 이거 참 훌륭한 연설이구만.'하는 감복을 자아냈다.

사이토 다카시는 익히 들어본 일본의 유명 저자라 나무생각 출판사에서 그의 책 번역본이 나온다하여 기대하고 있었는데,

귀한 기회를 얻게 되어 기쁘고 감사하다. :)

내가 생각하는 '전달력 있는 화법'은 단순한 내용 전달이 아니라 공감을 얻는 화법이다. 현사회를 살아갈 때 '공감력'은 매우 중요한 능력이다.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커뮤니케이션의 속도나 범위가 천문학적으로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확 끌어당기는 프로의 언어>> 프롤로그 중에서.

15초 만에 중요한 내용을 전달해본다

- 포인트를 두 세 개로 압축하여 논점을 정확하게 전달

- 인상적인 키워드를 내세우기

- 마지막에 임팩트가 강한 문구를 사용한다.

1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예술의 쓸모 - 시대를 읽고 기회를 창조하는 32가지 통찰
강은진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제 곧 40대를 맞이할 예정이라 그런지,

명화가 눈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클래식, 탱고음악, 첼로, 기타, 하프, 멕시칸 음악, 샹송 등 뭔가 어른스러운 음악이 마음에 깊이 다가오기 시작했다.

이런 때에 강은진 님의 <예술의 쓸모>를 만난 거다.

나와 다산북스의 타이밍은 신기하게도 잘 맞다.

현관에 두기 위해 고흐의 해바라기 명화 그림을 구매했다.

요즘엔 명화를 대중이 즐기기 용이하게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프린팅하는 기술이 발달해서,

집에서 명화의 에너지와 함께 할 수 있어 감사하고 행복하다.

명화는 요즘 나에게 위로와 감동을 준다.

그림 한 점이 어떻게 이렇게 보는 나로 하여금 이리 따뜻한 느낌을 줄 수가 있나?

20대 초반에는 미술관에 왜 말도 없는 그림들을 보러가는지 이해할 수 없었다.

그림의 의미와 감동을 느끼려 하지만, 사실 이런 그림을 그린 화가가 대단하단 생각만 들뿐,

내 피부로 그 감동이 느껴지진 않았는데, 지금은 확실히 다르다.

이런게 나이들어갊인가보다.

<예술의 쓸모>에도 많은 그림들이 실려있어, 가만히 보고 위로를 받고 편안함을 느끼고 행복감을 느꼈다.

내 바로 옆에 강은진 큐레이터님이 계신 듯이, 책은 나에게 큐레이션을 쥐어주고 있었다.

일단 모르고 있던 부분에 대한 지식이 쌓였고 통찰이 일어났다.

인간이 만들어낸 많은 것들 중, 예술에 관해 알아간다는 것, 요것 참 행복하네.

몇 백년 전이나 지금이나 인간은 인간의 행복추구에 참 관심이 많은 것 같다.

행복은 창작을 통한 기쁨에서도 오는데,

예를 들면 예술 공방에서의 작업 활동과 같은 것이 일상 속의 예술의 한 형태라고 볼 수 있겠다.


. 예술은 일상이 되어야 한다

모리스는 효율성이라는 명목 아래 인간을 착취하는 이러한 흐름에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사람들이 행복하게 일하는 환경을 만들려면, 기계화와 분업화의 흐름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여겼지요. 233쪽

그는 예술과 삶이 하나 되는 세상을 꿈꿨습니다. 예술을 일상에 녹여냈죠. 그때까지 예술은 일상과 동떨어진 것, 귀족이나 부자나 누리는 것이고, 일상용품과 예술 작품은 완전히 별개로 여겨졌죠. 그런 단절을 모리스는 하나로 연결시켰습니다. 235쪽

예술이 삶의 영역으로 부쩍 다가왔다면, 반대로 삶 또한 예술의 영역에 다가설 수 있을 겁니다. 하지만 과연 삶의 어떤 부분이 어떻게 예술로 표현될 수 있을까요? 시시때때로 변하는 감정과 생각이, 불안하고 허무한 마음이, 평범하고 반복적인 현실이, 과연 예술이 될 수 있을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