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맘대로 고전 읽기 - 신화부터 고대까지 동서양 역사를 꿰는 대표 고전 13
최봉수 지음 / 가디언 / 2020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기대하고 있던 가디언 출판사의 <<내 맘대로 고전 읽기>>.

고전은 참 손에 닿을 듯이 닿지 않는 어렵고 멀게 느껴지는 측면이 분명 있다.

저자 최봉수 님의 말씀처럼, 이 책으로 고전에 즐겁게 입문할 수 있다면 그걸로 된 것 아닐까?

저자소개가 흥미로웠는데

흔히들 적는 어느 대학 졸업 무슨 과정 졸업 수료

이런 소개가 아니고

겸손 겸양의 태도가 묻어나는 소개라

저자소개만 한번더 읽어보았다.

이 분 정말 어떤 분이실까?:)

고전의 재해석, 고전을 내 맘대로 해석하기. 듣기만 해도 재밌다.

입에서 입에서 전해내려온 고전은 한 가지 버전이 아니라, 지은이마다 작가의 생각을 더하고 더해 여러 갈래 버전이 존재하며,

이는 읽는 독자인 우리들도 우리들 나름대로 고전을 재해석해볼 여지가 충분히 있다는 뜻이다. 그래서 흥미롭구나.

고전은 죽어있는 문학이란 생각을 했는데, 읽다 보니 하물며 그리스 로마신화 속 신의 모습들만 봐도

인간의 모습들이 녹아 있다. 마치 인간처럼 지금 여기서 같이 살아 숨쉬는 것 처럼.

고전은 낡고 오래된 거라 재미없을 것 같다는 편견을 가진 사람이라면, 최봉수님의 책을 통해 고전 자체에만 집중하기보단 고전 플러스 알파, 즉 곁다리 배경지식 시대상황 흐름 등을 간단히 훑어보는 것도 괜찮은 고전읽기의 스타트가 되겠다 싶다.

그나저나 나는 그리스로마신화의 등장인물들의 이름 외우기가 어렵다. 어려워 외쿡 이름...

읽으려고 사둔 벽돌책 헤로도토스의 <<역사>>가 나와서 뜨끔했다.

내가 읽으려다 포기한 책이네 하며...

잊고 있었던 동서양 고전 DNA가 스멀스멀 올라옴을 느끼며...

                            

에우리피데스의 <<메데이아>>, 너무 서툰 사랑 이야기

사랑하는 자식에게 배우자에 대한 분노를 대신 퍼붓고 미안해하는 심리 상태를 '메데이아 콤플렉스'라고 한다.

메데이아는 그리스 신들도 혀를 내두를 정도로 잔인한 마녀다. 오직 사랑을 차지하기 위해 모든 관계를 다 버리고 모든 윤리를 다 무시했다. 그래서 그 사랑이 배신당하자 자신을 저주하듯 자신의 세계를 불태웠다. 사랑이 서툴렀던 거다. 너무 서툰 사랑은 사랑이 아니었음을 메데이아만 몰랐다. 에우리피데스는 특별히 메데이아의 독백을 연극에 많이 넣었다. 그녀의 표현이 이해하기 힘들 만큼 거칠지만 그녀의 마음만은 그렇지 않음을 온전히 관객들에게 전해주고 싶었을 것이다. 83쪽

자유롭고 살아 있는 <<사기>>가 된 까닭

<<사기>>의 특징은 무엇보다 현실적인 역사관을 들 수 있다. 사마천은 명분보다 실질을 중시했다. 그의 역사관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양상을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 역사 본연의 자세라는 거였다. 역사에 그 어떤 당위란 없다는 것이다. 그래서 제왕을 다루는 본기에 항우와 진시황을 포함했을 뿐만 아니라 여성인 여태후도 당당히 기록했다. 당시의 그 어떤 이데올로기적 명분이 아니라 누가 그 시대의 대세였는지를 기록하는 장이 본기라는 원칙을 지켰다. 153쪽

사마천은 결심한다. '하늘이 구상한 대로 세상과 인물을 재단하지 않겠다. 때로 하늘을 원망하고, 운명을 한탄하는 인물들을 통해서 세상을 그려보겠다. 그것이야말로 진정한 역사가 아니겠는가.' 이것이 '백이열전'을 통해 사마천이 말하고 싶은 메세지가 아닐까?

167쪽


. 그리스 로마 신화는 다른 신화들과 달리 정치적, 종교적으로 단일 교단이 있어 신들의 정체성을 통일시킬 주체가 없고, 다른 신화들과 달리 특정 민족 집단이나 전설에 뿌리를 두지 않아 후세 작가들에게 자유롭게 상상할 여지를 주었기 때문이다. 더욱이 알다시피 그리스는 단일 국가가 아니라 다수 도시 국가, 폴리스 연합체다 보니 폴리스마다 주신을 달리 세우고, 그 주신을 신격화하는 과정에서 인물(신)과 사건을 달리 해석한 까닭이다. 1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