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세다 유치원에서의 1년 - 함께여서 행복했던 내 아이의 어린 시절
조혜연 지음 / 세나북스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뭐, 어디를 가겠다고? 일본?"

조혜연 작가님의 첫 문장이 작가님의 당시 심경으로 나를 훅-하고 데려다 놓았다.

첫 문장부터 흥미로운 에세이라니 느낌이 좋다.

변호사 남편의 갑작스런 일본 유학행에 함께 가게된 조 작가님과 두 아들.

두 아들이라.. 작가님 너무 힘드셨겠다.ㅠ

난 하나 키우기도 힘든데.

일본어 한 마디 통하지 않은 상태로 와세다 유치원에 7살 난 두 아들을 보내는 엄마의 마음은 어땠을까?

작가님 글 읽어보면 참 긍정적이신 분 같다.

부모는 할 일이 많아 힘들지만 아이들이 좋아하는 유치원이라니.

고토리 구미, 이치고 구미, 츠키 구미 ㅋㅋ 오구 귀여워라.

아이들이 자연과 친하게 지낼 수 있는 유치원 환경이 부러웠다.

나도 뽁이 저런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보내고 싶었어.

생후 20개월 아기 엄마에게 7살난 또래 아이들과 그의 부모가 겪는 이야기는 신세계여서 또 하나의 흥미거리였다.

'아, 나 나중에 이런 모습이겠구나~.' 하며. ㅋㅋ

아이들이 무얼 배웠는지 모르겠는 유치원.

정석이다~

조 작가님 글이 소박하게 넘 재밌었다.

와세다 유치원의 프로그램들은 주로 놀이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우리나라에서처럼 놀이를 통해 영어를 배우고, 결국엔 뭔가를 배우기 위한 수단으로써의 놀이가 아니라 그냥 온전한 놀이 그 자체 말이다. 우리 아이들이 와세다 유치원의 놀이를 통해 구체적으로 무엇을 배웠는지는 솔직히 잘 모르겠다.

29쪽

일본의 전업주부의 전문성(?), 고집(?), 전업주부로서의 장인정신을 엿볼 수 있는 대목도 나온다.

전업주부의 의미에 대해 생각해 보는 작가님.

사실 그 가치가 많이 폄하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남성이 전통적으로 전업주부를 해왔다면, 그렇게 폄하되어 왔을까?

온갖 생색낸다고 바쁘지 않았을까?ㅋㅋㅋ

다른 여느 직업들과 마찬가지로 그러한 문화가 전업주부들에게도 똑같이 적용되는 듯한 모습이 내게는 꽤 신선하게 다가왔다.

51쪽

아이의 유치원 통원기인데, 아기엄마다 보니 낯선 타국에서 가족들을 돌보기 위해 애쓰셨을 조 작가님의 마음, 심정이 더 크게 느껴졌다. 읽으면서 왜인지 위로받고 쉬고 힐링하는 느낌이었다.

아이 등원 때 아침마다 풀메이크업을 하고 자전거를 타고 아이 도시락을 싸서 달리는 일본 엄마들.

작가님은 일본에서 만난 가장 이국적인 풍경 중 하나라고 꼽았다.

그게 가능해??? 라고 묻고 싶다.

왜 그렇게 일찍 일어나는 거야?... 엄마들 안 힘들어요?? 힘든데 일본 특유의 안 힘든 척, 아무렇지 않은 척 이겨내고 있는 거에요?

왜 그래요 대체들.... 쉽게 쉽게 갑시다~~

멋있지만, 분명 같은 인간이라면 제 시간에 저 많은 일들을 하기가 힘들터. 아닌가?? 직접 물어보고 싶네.

일본 엄마들의 검소함, 철저한 준비성에 배우고 감탄했다.

와세다 유치원에서는 작가님네 가족 딱 한 가족만을 위해 일정표를 한국어로 매번 준비해서 배부했다고 하는데,

입이 떡 벌어졌다.

우리로 치자면 예를 들어 베트남인 아이가 유치원에 등록했는데, 매번 베트남어 자료를 따로 번역해서 주는 수고를 한다는 소린데,

와- 쉽지 않을 텐데. 역시 배려의 클래스가 다르구나.

피할 수 없는 지진, 그리고 정규 교육과정에 수영 과정이 있는 일본의 구체적인 교육상은 흥미를 끌었다.

구석구석 참 많이 다르구나 싶다.

육아에세이라 생각했는데, 그 안에 일본 문화, 일본 유치원 문화가 한가득 스며들어 있고,

일상에세이라 생각했는데, 마치 일본 여행 다녀온 것 같은 힐링이 되었다.

조혜연 작가님의 다음 작품이 벌써부터 기대된다.

감사합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