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중국편 3 : 실크로드의 오아시스 도시 - 불타는 사막에 피어난 꽃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유홍준 지음 / 창비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묵직한 책이 나왔다.

실크로드를 다 거친 경험, '나의 문화유적답사기'를 쉼없이 펴내시는 유홍준 작가님의 에너지,

그 무엇을 생각해봐도 묵직하다.

책 표지가 신기했다. 책 표지가 이런 재질에 책을 쏘옥 감싸주는 넉넉한 크기로 이렇게 제작될 수가 있구나,

새로운 센스라는 느낌이 들었다.

책을 펼쳤을 때 실크로드가 쫘악 그려지면서,

그 길을 다 걸으셨구나,

그 여정이 험난하고 만만치 않았겠지만, 유홍준 작가님의 그 여정이 정말이지 부럽다는 생각이 들었다!

태어나서 그런 경험을 할 수 있는 사람이 몇 안 되지 않는가!

실크로드 답사라...

말만 들어도 설렌다.

유홍준 작가님 답사기 중에 일본 큐슈지역 답사기에 끌려 책 사서 조금 보던 기억이 있다.

작가님의 답사기 책은 출간될 때마다 독자에게

벽돌깨기 마냥 설렘을 안겨준다.

또 나왔구나, 나오고야 말았구나! :)

작가님의 안내와 함께 할 때의 여행과 그것이 없을 때의 여행은 천양지차다.

실컷 돌아다녀도 정말 봐야할 것, 생각해봐야할 것, 알아봐야할 것을 놓치고 무의미하게 돌아오는 여행이란 얼마나 허무하고 아쉬움만 잔뜩 남는가.

누란, 선선국 등 익숙치 않은, 어쩌면 처음 듣는 그 옛날 사람들이 살았던 어느 지명들이 신선하게 다가왔다.

신비의 피라미드 안으로 들어가는 것 같은 오묘한 쾌감.

누란 미녀 미라 사진을 보며 책으로 빨려들어가기 시작했다.

풍부한 사진과 역사적 고증이 답사기의 재미 중의 하나다.

희한하게 유홍준 작가님 책을 읽다보면, 실제로 내가 작가님과 함께 현지에서 같이 여행하는 느낌이다.

이국적인 중앙아시아의 자연 풍광, 노을 사진, 사진이 주는 감동이 정말 컸던 책이다.

타국의 문화를 대하는 제국주의적, 약탈주의적 시각과 시선에 다소 소름이 돋기도 했다.

인간이 훔치려 한다고 훔쳐지는 문화가 아닐텐데???

머리에 무엇이 남고 남지 않는지 확인할 사이도 없이,

정말 황홀하고 재미있게 읽어내려갔다.

이 책은 동생도 기다리던 책이라, 돌려봐야지~

유홍준 작가님의 다음 작품이 벌써부터 기대된다.

. 누란이 사라진 지 200년이 지난 뒤인데 왜 변경의 민족을 여전히 누란이라고 했을까? 참으로 수수께끼 같은 일이다. 현재로서는 그 당시 당나라 사람들에게 여전히 누란이 서역 변경 민족의 상징이었다는 것 이상은 알 수 없다. 35쪽

. 중국문화, 인도문화, 그리스로마문화, 이슬람문화는 오랜 역사와 독자적인 체계를 갖추고 있으면서도 영향관계가 심원하다. 돈황과 신강성은 이 4대 문화가 흘러 모인 곳으로 투르판은 바로 신강성 고대문화의 축소판이고 고창고성은 고대 투르판의 정치, 경제, 문화를 모두 아우르는 4대 문화의 꽃이다. 138쪽

. 첫 단계로 먼저 아주 예리한 칼로 그림 주변을 포장 박스 크기에 맞도록 잘라낸다. 칼날이 표면층을 완전히 관통할 수 있도록 주의해야 한다. 수레에 실어서 옮길 박스는 커야 하고, 낙타에 실을 것은 조금 작아도 된다. 말에 실을 것은 더 작아야 한다. 16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