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부터 일하는 방식이 달라집니다 - 포스트 팬데믹 시대, 가짜 일을 걷어내고 본질에 집중하는 법
강승훈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쉬이 읽을 수 있으면서, 직설적으로 말하는 책 <<이제부터 일하는 방식이 달라집니다>>를 읽었다.

 

 

LG경제연구원에서 인사 조직 분야 컨설팅과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저자 강승훈 님의 책은 심플하고 핵심을 찌르고 있었다.

회사 내에서 조직 인사 담당자뿐만 아니라,

'나는 왜 일하는가?', '나는 어떻게 일하고 싶은가?'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이 되는 회사원이라면 읽어봄직하다.

내가 일하는 공기업은 사기업보다 트렌드 변화를 조금은 더디게 받아들이는 경향이 없지 않아 있으므로,

저자의 생각에 호기심이 생기고 궁금했다.

조직문화 관리, 통제에서 이미 실패한 옆나라 일본의 사례를 통해,

현재 우리나라의 조직문화를 진단해 볼 수 있다.

상당히 닮아 있으면서 자세히 파고 들어가면 다르고,

어떻게 보면 우리의 미래상일 수 있는 일본의 모습은 책을 통해 알게되는 것 자체가 흥미로웠다.

일터에 진짜 일과 가짜 일이 따로 있을까?

그 개념을 구분해 들어가는 것부터 흥미로웠다.

6장 일의 본질을 잃었을 때 나타나는 5가지 증상은 읽으면서 뜨끔했다!

이거 우리 조직 모습인데,

이거 내 모습일 수 있는데 하면서.

일터에서 진정한 삶의 의미를 찾는다는 것이 가능한 일인지 의문이 들 때가 있지만,

그렇기때문이야말로 의미를 찾아보려고 노력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일의 본질을 잃었을 때 나타나는 5가지 증상

가짜 일1. 보여주기

. 상사를 만족시켜 개인적 이익을 얻는 데 목적이 있다. 보여주기가 만연한 조직에 되는 일은 없다. 말만 많을 뿐이다. 성과의 기준이 모호하고, 권위적인 조직이 보여주기에 특히 취약하다.

가짜 일2. 시간끌기

가짜 일3. 낭비하기

가짜 일4. 다리걸기

가짜 일5. 끌고가기

. 습하고 어두운 환경에서 곰팡이가 자라나듯, 인간미가 사라진 조직에 사이코패스가 넘친다. 심리 전문가들은 "양심, 공감, 죄의식 등이 없는 직원들이 장기적인 관계가 사라지고, 수단을 가리지 않고 개인의 성과만 중시하는 환경을 좋아한다"고 말했다. 이런 환경에서 사이코패스 성향을 지닌 사람이 두각을 나타낼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들은 아무런 가책 없이 이기심만을 추구하며 동료를 방해한다. 23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