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가가 사랑한 최고의 건축물 - 구조에서 미학까지, 교양으로 읽는 건축물
양용기 지음 / 크레파스북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건축가가 소개하는 최고의 건축물이라는 제목에 최고, 일등이 어떤 건축물이지? 하는 생각이 든건 안비밀이다. 책을 읽어가며 다양한 건축물에 담긴 건축가와 건축물에 대한 이야기를 접해가며 작가의 에필로그를 읽으며 어떤 건축가와 건축물이 최고인가를 가리려는 취지가 아님을 본다.
작가가 굳이 기준을 정하는 것으론 인류와 도시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주는지를 생각하는 것이라 한다.
또한 건축물들은 미래를 향한 하나의 징검다리, 가능성에 대한 시도를 보여주는 것이라 말한다.
책의 내용은
자연, 가장 아름다운 공간
자연의 파괴를 우려하는 각 분야의 많은 메세지가 등장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자연을 살리고 자연을 품은 건축 형태를 만들어 내고 있다.
도전, 평범함에 맞서는 저항
다양한 양식은 이전의 표준을 위반하는 행위인 동시에 이전 것에 대한 도전이다. 이 도전으로 인하여 우리는 새로운 것을 맞이하게 된다.
구조, 형태를 유지하는 힘
모든 형태는 구조를 갖고 있다. 건축에서 하나의 형태가 만들어졌다는 것은 곧 그 형태를 위한 구조가 형태에 담겨 있다는 것이다.
미학, 아름다움에 대한 탐구
작가마다 자신이 갖고 있는 미의 기준이 있다. 그것이 이 작가의 언이다. 그 의도에 따라 작품이 탄생되었다면 이것이 바로 행이다. 그리고 그 결과 우리가 깨달음을 얻고 이에 동조한다면 미를 인식한 것이다.
클래식, 변하지 않는 가치
클래식한 요소들은 사람들에게 안정된 형태의 모티브로 자리 잡으며 안정된 미의 대명사가 되었다.
이러한 내용으로 분류된 건축물들에 대한 스토리를 따라가면 세계 건축 여행(건축물 48선)이 된다. 흥미롭다.
직접 그 나라로 날아가 직접 보고 싶게 만든다.
내가 경험한 최고의 건축물들은 뭐가 있을까 생각해본다.
군위에 있는 사유원이 생각난다. 찾아봐 주시길~~
넓은 대지에 다양한 건축양식들, 사유를 위한 길과 공간들
그리고 거기서 알게된 건축가
그리고 이어진 경북 하양의 한 작은 교회 건축물, 길건너의 카페 거기에 대한 스토리 ( 승효상, 무학로교회, 물볕 카페 문화공간, 빈자의 미학)
뮤지엄 산 ㅡ 안도타다오, 미술관, 명상관
이는 일본 미술관 투어를 갔다가 소개를 받고 알게 되었던 곳이다.
거리가 가깝다면 자주 가보고 싶은곳
명상관이 좋았던건 일본투어시에 한 미술관의 건물중 명상관에서
떨어지는 빗물을 바라보며 잠시 시간을 가지는데 나도 모르게 눈물이 났던 기억( 지중 미술관) 때문인거 같다.
먼저 다큐멘타리로 만났던 이타미 준 (유동룡)ㅡ 제주 방주교회, 수풍석 박물관(여기는 아직 못가봤는데 가보고 싶은곳)
그리고 한옥마을, 절과 성당이다.
해외로 날아갈 순 없지만 국내로 달려갈 수 있으니 국내의 건축물들에 대해 알고 싶어진다. 우선 프랑스 대사관으로 가야하나? ㆍㆍ 외관만이 아니라 스토리를 알아가 보고 싶게 이어지는 책 읽기 였다.
책키라웃과 크레파스북으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