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형 - 세종도서 교양부문 선정작 책고래마을 35
박예분 지음, 김태란 그림 / 책고래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올해는 6.25 전쟁이 발발한 지 70년이 되는 해입니다.
그 의미를 되새기기 위해 읽어볼만한 좋은 책이 나왔네요.








개인적으로 책고래라는 출판사는 처음 만나보았어요.
우선 고래 모양의 출판사 로고가 너무 귀엽고
"책고래마을은 책을 좋아하는 아이와 어른이 함께 노는 그림책 놀이터입니다"
라는 상단의 문구가 정말 마음에 들었어요.
그림책, 동화책은 어린이만 보는 것이 아니라 
연령을 초월해 누구나 보고 기쁨과 감동을 느낄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하거든요.






<우리 형>이라는 제목만 봐도 우리 형은 나에게 얼마나 소중한 존재일지 짐작이 갑니다.
아니나 다를까 우리 형은 내가 잘못하는 일이 있을때마다 매번
"괜찮아, 형도 너만 할 때 그랬어."
라는 말로 나를 위로해줍니다.
잘못은 덮어주고 슬픔은 덜어주고 기쁨은 더해주는 소중한 우리 형.






그러던 어느 날
형은 갑자기 먼 곳을 다녀와야 한다며 집을 떠납니다.
아직 어리기만 한 나는 형이 가는 곳이 어디인지 알 수 없지만
언제나 나를 지켜주던 형이니 곧 돌아올것이라 믿습니다.  






마을이 갑자기 소란스러워지고 전쟁이 났다는 소식이 들려옵니다.
형이 가있는 곳은 군대였고
전쟁이 끝나도 형은 돌아오지 못했습니다.
형 대신 가족에게 돌아온 형의 비망록에는 가족들의 이름이 푸른 잉크로 꼭꼭 눌러 써져 있습니다.






작가님의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쓰여진 책이기에
전쟁의 아픔이 더욱 생생하고 의미있게 다가오는 것 같네요.





마침 아이들과 주말에 영화 <국제시장>을 보았던터라 책을 보고 이야기 나누기가 더 좋았어요.
전쟁의 참상과 특히 가족을 잃은 사람들의 상실감이 얼마나 클 것인지 생각해 보았지요. 
주인공의 가족들이 피난을 가는 모습은 영화로 보나 그림책으로 보나 너무나 고달프고 힘들게 느껴져서 마음이 아팠습니다.
불과 100년도 떨어져 있지 않은 가까운 시간에 내가 사는 이 땅에 이렇게 참혹한 전쟁이 일어났다는 사실이 도무지 믿어지지 않아요.
그래서 더 쉽게 잊게 되고
그렇기 때문에 이런 책들이 과거와 현재를 이어주는 역할을 해주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전쟁이라는 것에 대해 어른들보다 훨씬 더 아득하게 느낄 아이들에게 꼭 보여주었으면 하는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