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왕조실록 1 신라왕조실록 1
한국인물사연구원 엮음 / 타오름 / 201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많은 분량을 4권에 축약해 넣기도 어려웠을 텐데, 정말 노력이 대단하다. 992년 동안 56대의 왕을 거치며 결국은 쇄락의 풍랑 속에 빠져 역사 속에 묻혀버린 신라의 이야기는 생각보다 디테일하고 흥미로웠다. 진성여왕, 선덕여왕의 등장. 하필이면 여왕이 등장한 후부터 탐욕에 의해 국가가 본격적으로 휘청거리다니, 그 점은 아쉬웠다. 여성 지도자의 섬세함이 당시 시대상에는 안 맞았을리 없는데, 개인의 성향에 따른 파국이 아닐까 싶었다. 신라사를 보니, 국가의 체계와 성장이 별로 다르지 않은 양상을 띠다는 사실도 알았다. 외세의 힘을 이용해 한반도를 통일했다는 대목은 두고두고 상반된 평가를 가져올 판단이었고, 결과였다. 그 점은 신라시대의 시작을 알리는 울림이었지만, 오늘에 와서는 아쉬움도 남는 대목이 아닐 수 없다. 학창 시절에 누구나 이러한 생각을 하고도 남았다. 백제의 섬세한 고풍적 아름다움, 고구려의 마초식 확장과 용맹함. 그에 비하면 솔직히 신라는 뚜렷한 이점이 없었다. 학창시절의 시각에서는 그렇다. 북방 이민족의 침입과 당나라의 침략에 맞서느라 한강 이남에서 치고 올라오는 백제와 신라까지 상대하기는 솔직히 지정학적으로 무리가 아니었나 싶다. 그런 점에서 고구려의 멸망이 더욱 아쉬웠다. 당시에는 같은 민족이라는 생각이 없었을까? 말이 통하는데 어째서 이민족이라 생각했겠는가. 당나라나 북방 뜨내기 민족, 왜구가 말이 안 통했으니 분명 삼국은 일치된 무언가를 공유했을 것이다. 신라의 성장과 통일은 대단한 일이지만, 여전히 고구려가 아쉽긴 하다. 내부 당쟁과 멸망의 기조를 보이는 조세 제도 비균형, 불평등은 고구려나 신라나 다 똑같이 경험한 일이다. 이 책을 읽으며 1000년의 세월은 정말 길고도 짧다는 생각이 들었다. 길다는 점은 왕이 56번이나 바뀐다는 것인데, 실록이 두꺼워질 수밖에 없는 환경적 상황이겠다. 이 책에 등장하는 인물의 수를 헤아려보면 1000명은 넘는 것 같다. 한 분 한 분 의미 있는 삶을 살다 가셨겠지만, 어디서나 볼 수 있는 인물도 많다. 그런 점에서 역사의 반복이 일어나는 게 아닐까 싶다.세월의 짧음은 결국 결말이 있다는 점이었다. 골품제의 폐해, 이기주의, 무사안일주의 등이 결국 종국을 마주하는 지름길임을 신라왕조실록을 통해 알 수 있었다. 정말 노력부터 내용까지 모두 대단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