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질문이 돈이 되는 세상 - 이미 시작된 AI의 미래와 생존 전략
전상훈.최서연 지음 / 미디어숲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미 시작된 AI의 미래와 생존 전략

질문이 돈이 되는 세상

챗GPT


챗GPT라고 들어보긴 했는데 단어가 많이 생소하기도 하고 돈이 된다니 보고 싶었어요.

그런데 읽다 보니 이미 시작되었다는 제목처럼 우리 생활에 이미 시작되었고 대중화 된 것도 있더라고요.



먼저 챗GPT가 무엇인지 정확하게 알게 되었어요.

챗은 대화를 주고받는 채팅 그것을 말하고, GPT는 오픈 AI가 개발한 언어 모델이라고 합니다.

제가 생각할 때 우리가 검색을 하면 사람들이 여러 가지 올린 글 중에서 검색어가 들어간 글들을 찾아주잖아요? 


전문적인 글도 있고 재미위주의 글도 있고요. 그런 검색어를 챗GPT라는 시스템에 물어보는 거예요. 인공지능으로 만들어진 시스템이라 책에서 예시를 보니 아주 그냥 똑똑하고 똑부러지게 찾아 주더라고요. 전문적인 지식의 내용이 많을 거 같아요. 농담도 있다고는 하는데 아직은 미미 한거 같아요. 그래서 어떻게 질문하느냐에 따라 내가 활용할 수 있는 내용을 뽑아내느냐 차이 같습니다.


젊은 사람들에게 많이 유리한 세상이 되어가는 거 같아요ㅜ 저에게는 아직은 어려운 놀라운 내용이였습니다.


그래도 천천히 읽어 보았습니다^^



목차를 보고 도대체 어떤 내용인지 흐름을 보았습니다. 사진엔 없는데 부록도 있어요.

PART2 까지는 서론이고 저는 PART 3부터 본론으로 생각되었습니다. 



GPT가 유행을 알까 했는데... PART 1을 보니 지금도 제가 하고 있고 수없이 많이 했던 회원가입, 이벤트 등록, 댓글 등등을 수집하였던 것이였네요. 한동안 영수증으로 포인트 적립을 해보니 포인트가 점점 줄어들고 영수증 출력을 해야하니 환경걱정도 하고 있던 찰나, 영수증 내용을 수집하나 보다 뒤늦게 알게되었네요. 그래서 하지 않고 있어요. 노력에 비해 포인트가 적기도 하고요. ㅎㅎ 


SNS활동은 선택이니 저는 이벤트 내용도 복잡해지고 어려워지고 귀찮아져서 점점 안하게 되요. 돈을 벌기 위해선 많은 사람들의 관심사를 알면 유리할테니 기업에서는 활용할 가치가 있네요. 알게 모르게 이용당하는 거 같아서 기분은 좋지 않아요. 


그런데 이미 우리 생활과 뗄수가 없는 시대가 되었고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한 직업이 없어질 위기가 있다고도 하니 꼭 돈을 벌기 위한 내용만은 아니예요.



이제는 먹고 살기위해서 챗GPT 인공지능을 알아야 합니다.  

교육도 변해야 하고요. 특히 아시아 쪽 교육이 너무 지식위주의 시험위주 교육이다 보니 문제가 있다고 합니다. 변화고 있기는 하지만 아직 초입부분인 거 같아요.


지금 챗GPT를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선 영어를 해야한다고 합니다. 이미 외국에선 많이 대중화되었고 데이터 내용도 많은데 우리 나라는 데이터내용이 적어서 세계적으로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선 영어를 할 줄 아는게 중요하다고 합니다. 더 많은 자료를 얻어 큰 세계를 그릴 수 있는 건 저도 느끼는 바입니다.


챗GPT에게 질문을 하고 원하는 답을 얻는 빅픽처 훈련법이 있네요. 키워드를 뽑고 뽑는 방법이라는데 책에 예시도 있습니다. 저 같은 나이 많은 사람들도 디지털 교육을 받아야 한다고 합니다! 어렵겠지만 저도 해야된다고 생각합니다~



새로운 것을 시도하면서 변화가 될 때는 안정이 될 때까지 많은 문제가 있어요.

도전은 계속 해야하지만 윤리문제가 있습니다. 챗GPT가 너무 똑똑하니 사람은 필요가 없는 것인가부터 로봇과 결혼한지도 모르는 시대가 올 것 같다, 영화에서 봤듯이 인공지능이 사람을 좌지우지 하지 않을까... 하는 문제 등등.


PART 4에서는 어떤 문제점이 있을지 알아보고 우리는 어떻게 해야하는지 고민해 보는 시간을 줍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만 무상으로 제공받아 기록한 후기입니다>



#챗GPT #질문이돈이되는세상 #AI미래와생존전략 #전상훈 #최서연 #미디어숲 #챗GPT사용설명서 #인공지능 #서평이벤트 #책세상맘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