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래된 길, 우즈베키스탄을 걷다 - 실크로드 1200km 도보횡단기
김준희 글.사진 / 솔지미디어 / 2009년 5월
평점 :
품절
여행을 한다는 것은 사람 마음을 설레게 한다. 나 역시 그렇다. 여행이라는 단어만 보아도 두근거린다. 하지만, 남들과 다른 혹은 색다른 여행을 계획한다면 어떤 기분이 들까? 우선, 자신과의 싸움이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든다. 자기 자신의 의지, 끈기, 인내심 등을 시험해 볼 수 있기에 남들이 선택하지 않는 여행길을 선택하고 힘든 여정이라는 것을 아는 상태에서 여행을 시작하게 된다. 과연, 어떤 기분이 들까?
모처럼 여행 이야기를 만났다. 하지만, 단순한 편한 여행이 아니다. 여행이라고 해서 편하다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인 ‘여행’을 하는 사람과 비교했을 때 단순히 편안한 여행이라고는 할 수 없는 여행 이야기를 만났다. 「오래된 길, 우즈베키스탄을 걷다」라는 책이었다. 그렇다. 여기서 ‘걷다’에 주목해야 한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단지 여행을 목표로 가는 것이 아닌, 자신과의 싸움을 목표로 삼과 끈기, 인내심, 의지 등 내면의 자신과 싸우면서 하는 ‘걷기’ 여행인 셈이다.
그가 처음에 걸으면서 여행을 한다는 이야기를 주변에 했을 때 주변에서는 부정적인 반응들이었다. 하지만, 결국 그는 자신과의 싸움에서 승리했고, 여행의 코스도 계획해서 완주했다. 자신과의 싸움에서 이긴 것이다. 그는 남들이 차로 이동해야 하는 곳을 걸어서 갔다. 실크로드라 불리는 길의 가운데 사막을 낀 것이었기에 죽을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은 들었지만, 그는 도전한 것이다. 몹시 더운 날씨에도 발에 물집과 피가 나면서까지 걷고 또 걸었다. 포기하고 싶었지만, 조금만 더 가면 마을이 나올 것만 같았고 여기서 주저앉으면 죽는다는 생각에 걸었던 것이다. 키질굼 사막을 가로질러 그는 41일 동안 도보여행을 한 것이었다. 실크로드를 1,200Km 도보를 하면서 그와 인연이 닿았던 그곳의 사람들과 지역적 특징, 모습, 환경 등을 이 책에 담아내고 있다. 그리고 그들과 사진으로 추억을 남기기도 하면서 말이다.
걷는다는 것은 좋은 것이다. 하지만, 이 책의 저자처럼 1,200Km를 도보로 여행한다는 것은 아무나 하는 것이 아니었다. 그 역시 여행하기 전 체력을 다지려고 운동을 열심히 했다. 걷기 여행은 체력 싸움이기도 했기 때문이다. 그의 발길이 닿았던 곳 중에서 ‘부하라’의 지역 이야기가 기억이 난다. 어떤 건축물이 멋들어지게 있어 유심히 보던 중 첨탑을 보게 된다. 그리고 그 건물은 18 ~ 19세기에 사형을 선고받은 죄수들이 이 첨탑에서 뛰어내렸던 곳이라고 이야기해 주었다. 다소 충격적인 이야기였다. 그와 함께 걷기 여행을 함께하면서 그곳 사람들의 따뜻한 마음과 인심을 느낄 수 있었고, 나라와 국적은 다르지만 한 민족이라는 느낌을 안겨준 여행 이야기였다. 요즘 사람들은 힘든 일은 하기 싫어할뿐더러 하지 않으려고 한다. 하지만, 이 책의 저자처럼 남들이 도전하지 않는 ‘걷기’ 여행을 통해서 나약해진 자신을 강하게 만들 필요가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