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를 버리다 - 아버지에 대해 이야기할 때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가오 옌 그림, 김난주 옮김 / 비채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버지에 대해 기억하고 있는 것.

.

 이 글은 일본에서도, 한국에서도 너무나 유명한 소설가, 무라카미 하루키가 썼다. 처음 이 책을 접했을 때 제목이 어마무시해서 처음에는 딱히 읽어보고 싶은 생각이 들지 않았다. ‘아버지에 대해 이야기할 때’라는 부제를 단 것을 보면 아마 작가가 아버지에 대해 이야기를 한 것 같은데 아버지와 함께 고양이를 버리러 갔던, 어렸을 적 한 생명을 버렸을 때의 마음이 어땠는지, 그리고 그의 아버지가 그만큼 동물에 대해 무심했는지에 대한 설명이 적혀있을 줄 알았다. 오히려 이런 생각을 했다는 것이 작가에게 미안할 만큼 우려스러운 이야기는 아니었다.

 무라카미 하루키는 어렸을 때 아버지와 함께 고양이를 버리러 간 적이 있다고 하면서 말을 꺼낸다. 한 생명체를 버렸다는 것에 대한 트라우마를 말하려 하는 것이라고 짐작했지만 전혀 아니었다. 그 당시만 해도 고양이를 버리는 것은 흔했다고 한다. 결과적으로 아버지와 하루키는 먼 길을 가서 고양이를 해변에 두고 집 현관문을 열었다. 그 때 분명 버린 고양이가 눈 앞에 있었다. 그의 아버지는 놀란 표정을 짓다가 이내 안도의 표정을 짓고 계속 키우기로 한다. 내가 생각하던 이야기가 아니란 걸 글 초반에 알아서 마음이 편했다. 그리고 그의 아버지가 고양이에 자신의 모습을 투영했다는 사실도 내 마음을 안심시켰다. 

 무라카미 하루키는 1949년생으로 그의 아버지는 일본이 엄청난 야망을 전쟁을 통해 드러낼 시기에 살고 있었다. 실제로 그의 아버지는 난징대학살을 일으켰던 부대에서 군복무를 했다. 내가 무라카미 하루키의 글이 좋아진 이유. 그는 일본 역사에 대해 냉철하게 바라봐야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하루키는 그의 소설 ‘기사단장 죽이기’에서도 난징 대학살에서의 일본군 만행을 고발했다. 이 때문에 일본에서는 ‘일본을 매도한 이기심’이라며 비판을 받았다. 이에 하루키는 “역사란 한 나라의 집합적인 기억이니, 과거의 것으로 치부해 잊어버리거나 다른 것으로 대체하는 것은 아주 잘못된 일이다. 역사 수정주의자에 맞서 싸워나가야 하며, 소설가가 할 수 있는 일은 이야기라는 형태로 싸워나가는 것뿐이다.”라고 말했다고 한다. 일본 작가에 관련해서는 혐한 작가라는 단어들만 듣다가 이런 일본 작가가 있다는 거에 놀랐다. 그리고 그의 이런 의지는 이 책에서도 잘 드러난다.

 이 책의 마지막 목차, 작가 후기에서 그는 이렇게 말한다. “역사는 과거의 것이 아니다. 역사는 의식의 안쪽에서 또는 무의식의 안쪽에서, 온기를 지니고 살아있는 피가 되어 흐르다 다음 세대로 옮겨가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여기에 쓰인 것은 개인적인 이야기인 동시에 우리가 사는 세계 전체를 구성하는 거대한 이야기의 일부이기도 하다.” 나는 시대적 배경이 일제강점기나 한국 근현대사인 작품들을 보기를 꺼려한다. 그런 드라마나 영화, 책들을 보고나면 적어도 3일 간은 마음이 좋지 않았고 먹먹해서 머리가 아팠다. 보는 동안에도 작품으로 너무 빠져들어 감정에서 헤어나오지 못할 것이 두려워 일부러 집중하려하지 않은 채 보기도 했다. 역사적 사실에 대해 알아야 하고 정의롭고 용기있는 분들의 행동에 깊게 감사드리며 그 역사를 직면해야 한다는 도리는 충분히 해야 한다고 생각했지만 내가 너무 힘들어서 볼 수 없었다. 하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 그랬던 내 자신이 얼마나 부끄러웠는지 모른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란 없다.’라는 말을 드디어 이해할 수 있었다. 내가 지금 살고 있는 편한 세상은 그 분들의 용기와 적극적인 행동이 아니었다면 가질 수 없는 것이었다. 나는 그냥 거저 얻은 것이므로 감사함과 역사적 사실만 잊지 않으면 되는 일인데 그 조차 하지 않으려고 했다는 게 참 부끄러웠다.

 이번 년도에 읽은 수필, 에세이 중에 가장 내 머리를 울렸고 큰 깨달음을 준 책이 이 책이라고 자부할 수 있다. 책은 작고 얇고 가볍지만 그 책이 나에게 안겨준 생각은 결코 작지 않았다. 작은 책 하나가 살아오면서 굳혀진 인식을 순식간에 바꿀 수 있다는 사실을 이 책을 통해 알게 되었다. 

.

어쨌거나 아버지의 그 회상은, 군도로 인간을 내려치는 잔인한 광경은, 말할 필요도 없이 내 어린 마음에 강렬하게 각인되었다. 하나의 정경으로, 더 나아가 하나의 의사 체험으로, 달리 말하면, 아버지 마음을 오래 짓누르고 있던 것을 -현대 용어로 하면 트라우마를- 아들인 내가 부분적으로 계승한 셈이 되리라. 사람의 마음은 그렇게 이어지는 것이고, 또 역사라는 것도 그렇다. 본질은 ‘계승’이라는 행위 또는 의식 속에 있다.

.

그리고 죽음에 대해서 생각하고, 저 먼 아래, 눈앞이 어질어질해지는 지상을 향해 수직으로 내려가는 어려움에 대해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