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의 글쓰기 - 자발적 글쓰기를 시작하는 어른을 위한 따뜻한 문장들
이은경 지음 / 큐리어스(Qrious)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글을 쓴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그것도 매일 꾸준히 쓴다는 것은. 이 책은 뭔가를 쓰고 싶지만 시작하지 못한 글쓰기 열망자, 이런저런 핑계로 포기했지만 글쓰기에 대한 열망이 조금은 남아있는 독자들을 위한 책이다. 어떤 마음가짐을 가지고 쓰면 되는지, 어떻게 쓰면 되는지를 옆에서 나긋나긋 조언해주고, 북돋아 준다.

나 또한 글쓰는 것을 좋아한다. 어렸을 땐 말보다는 글로 내 생각을 전하는 것이 훨씬 쉽고 편했다. 말은 바로바로 내뱉어야 하지만, 글은 오랜 시간을 가지고 곱씹으며 내 생각을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실수할 일도, 부담을 느낄 일도 적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성인이 된 지금은 글을 쓸 일이 많이 없다. 일기도 꾸준히 쓰고, 책을 읽고 기록하고는 있지만 초등학생 때처럼 누가 쓰지 않는다고 해서 뭐라고 할 사람도 없기 때문에 매일 꾸준히 쓰기란 쉽지 않다. 그래서 어른의 글쓰기에는 자발성이 존재한다고 하나보다.

저자가 말하는 글을 잘 쓰기 위한 방법은 크게 어려운 방법이 아니다. 그저 일단 써보는 것이다. 짧은 글을 하루 한 편씩만 써도 되고, 잘 쓰지 않아도 되니 막 쓰면 된다. 그리고 다음 날 그 글을 수정하고 덧붙인 다음, 오늘의 초고를 또 쓰면 된다. 잘 쓰려고 하기 보다 매일 꾸준히 쓰는 것. 이것이 글쓰기의 비결이라고 말한다.

또한 영감을 기다리기 보다는 영감을 찾아 나서라고 조언한다. 영감이 떠오르지 않아도 일단 노트북을 켜고, 다이어리를 펼쳐 오늘 계획했던 분량만큼 그저 쓰라고. 그리고 쓰기 위해서는 그만큼 읽어야 한다. 신선한 영감, 훌륭한 문장에의 노출을 지속하다 보면 좋은 문장이 나오기 때문이다. 만약 글을 쓰기 어렵다면 가장 하찮은 것에 대해서 써보라고 조언한다. 내가 먹은 음식, 어제 봤던 드라마, 가장 가까운 가족, 내가 찍은 사진들도 소재가 될 수 있다. 또한 글감이 떠오를 때마다 메모해두는 것과 단어를 수집하는 것은 글을 쓰기 위한 좋은 토대가 된다. 평소 안 쓰는 단어를 발견하게 되면 기록해두었다가 나중에 글을 쓸 때 사용해 보는 것이다. 나도 문장 모으기를 좋아해서 책에서 마음에 드는 구절이 나오면 꼭 기록해두곤 하는데, 단어 수집도 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글쓰기의 좋은 점은 글은 나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 준다는 데에 있는 것 같다. 상대의 반응과 상관없이 마치 대나무숲처럼 누구에게도 하지 못하는 이야기를 글에다가는 털어놓을 수 있기 때문이다. 나 또한 가슴이 답답하지만 남들에게는 털어놓지 못하는 고민이 있을 때면 글을 쓰곤 하는데, 그러고 나면 마음이 한결 가벼워지고 쓰는 행위만으로도 치유 받는다는 느낌을 받는다. 저자는 자신의 둘째 아이의 장애를 인정하던 날 밤, 글을 쓰는 것을 통해 위로받고 치유되는 것을 느끼고는 자신을 지키기 위해 글을 썼다고 말한다. 서른 일곱. 글을 쓰기엔 늦었다고 생각할 수도 있는 나이이지만, 글을 쓰지 않고 살아왔던 시간도 소중하기 때문에 괜찮다고 말하는 부분에서 위로를 얻었고, 그녀의 긍정적인 생각을 본받고 싶었다.

이 책은 글을 쓰는 것이 생각보다 엄청난 일이 아니라고, 쓰고 싶은 마음만 있다면 당신도 쓰는 사람이 될 수 있다고 따뜻하게 위로해주고 북돋아 주는 책이다. 글을 쓰고 싶은데 망설이고 있는 사람이 있다면,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몰라 마음을 먹고 실천을 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있다면 추천해주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