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로메, 니체를 말하다 - 니체의 작품으로 본 니체 니체 아카이브
루 안드레아스 살로메 지음, 김정현 옮김 / 책세상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니체 독자로, 이 책이 나온다는 소식을 듣고는 흥분을 감추기가 힘들었다. 니체를 처음으로 세계에 알린 책이면서, 니체가 짝사랑한 사람이 니체에게 바치는 존경 어린 책이다. 니체의 전기를 읽을 때마다 나는 루 살로메의 입장은 어떠할까 생각하고는 했다. 니체의 짝사랑은 광기에 가까운 것이었고, 증오와 애증이 솟구치고 부딪히면서 깊은 심연이 되었다. 루 살로메와의 사랑마저 실패한 니체는 세계를 온통 절망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루 살로메는 니체를 증오하고, 거리를 두고 살려 하지 않았을까하는 생각과는 달리 이 책은 니체에 바치는 지적 존경으로 가득하다. 예로 첫 파트를 보자. 루 살로메는 니체의 생김새를 묘사하면서 그의 눈에 담긴 카리스마를 분석해낸다. 이는 니체를 곁에서 한때 보았고, 그의 눈빛을 마주보았기에 할 수 있는 통찰이다. 후대의 평전 작가는 주변 사람들의 증언을 듣고, 그 사람에 대한 사진과 자료로 그 눈빛을 분석해야만 하는 한계에 부딪히는 데 비해, 루 살로메의 니체 전기는 그 생생함이 살아있다. 한때 자신을 애증했던 사람,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적 동료인 니체를 그리 사랑스레 봐주는 사람은 루 살로메 한 명 뿐이었으리라는 것을 이 책을 보면 알 수 있다. 루 살로메는 니체의 인상으로부터 시작해 별처럼 흩뿌려진 그의 빛나는 아포리즘을 한 데 모아서 별자리를 잇듯 그의 사유를 잇는다. 그녀가 몸소 마주한 다혈질적인 기질, 혹은 겉잡을 수 없는 천재성, 그리고 시도때도 없이 망가지는 그의 삶으로부터 그의 사유를 재해석한다. "나를 죽이지 않는 것이 나를 성장하게 만든다"라는 <우상의 황혼>의 아포리즘을 시작으로 그녀는 그의 사유가 망가진 삶을 끝없이 살아내려는 그의 의지와 종교학적인 측면에서 비록된다고 본다. 이러한 니체 해석은 지금의 니체 해석의 근간이 되는 것이다. 그녀의 꼼꼼한 독해를 따라가다가 끝내 마주하는 것은 우리가 절망하지 말아야 한다는 한마디다. 근육이 찢어지고, 다시 자라나 새 근육이 되듯이 이 책은 마음의 근육이 계속 자라나며, 그것에 따라서 이전의 자신을 잊고서 살아가리라는 의지가 중요하다고 본다. 영원회귀하는 니체의 신비로운 사유가 세계의 바깥이란 없으며, 다시 살아내는 삶의 반복이라 본 살로메의 관점은 낡고도 새롭다. 하지만 낡고 새로운 것은 진부하다는 말이 아닌 클래식이라는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