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 회전목마에서 만나 - 열네 살의 르네 마그리트를 매혹한 축제의 세계
퍼트리샤 앨머 지음, 주은정 옮김 / 에포크 / 2021년 4월
평점 :
3년 전 유럽일주를 할 무렵, 내가 파리를 떠나서 제일 먼저 도착한 곳은 벨기에 왕립미술관에 위치한 르네 마그리트 미술관이었다. 유럽 일주에서 내가 가고자 했던 곳은 모두 나한테 성지로 여겨도 될 만한 가치를 지녔다고 해도 무방했다. 르네 마그리트 미술관은 어릴 적부터 그곳의 이름만 들으면 설렐 정도니까. 화가인 어머니를 따라서 어린이집 대신에 화실에서 동화책 대신에 영어로 된 르네 마그리트 화집을 보고 자랐다. 중절모를 쓴 남자, 머리가 큰 사람, 하늘에 떠다니는 성, 얼굴에 천을 두르고 키스하는 연인, 화면 속 화면들... 르네 마그리트의 세계는 알수록 미지의 세계에 가까운 것이었고, 그 세계만으로 하루를 보내기가 가능했다. 그건 무성영화에 가까운 그 동적인 세계관 때문이었을 거다. 나를 실제로 본 사람은 알겠지만 내 휴대폰 폰케이스도 <연인들1Les Amants>이다. 글자를 배우기 전 무렵이었으므로 그 그림들의 맥락을 알기는 힘들었다. 왕립미술관에 가기 전에야 그 그림들에 얽힌 수많은 이야기들을 알게 되었다. 하지만 르네 마그리트의 세계를 다루는 비평서를 국내에서는 보기가 힘들었다. 시공아트에서 나온 수지 개블릭의 입문서를 제외하고는 마그리트를 다루는 책은 절판되거나 도화집 위주로 출판되는 편이었다. 이 책 <우리, 회전목마에서 만나>는 르네 마그리트를 기존 미술계의 흐름을 반대로 뒤집으면서 르네 마그리트에 대한 명랑한 이해를 돕는다. 이 책은 마그리트의 세계를 대중문화와 디자인, 순수 미술이 공존하는 놀이터로 만든다. 영화와 서커스, 카메라 옵스큐라 등 마그리트가 살던 시기의 다른 장르들이 어떻게 미술로 스며들어와 기법이 되었고, 그것이 마그리트 그림의 모티프가 되었음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책은 (미래파부터 시작해 1895년 초기 영화의 출연 당시부터) 여러 매체들이 부딪히는 격전장이었던 캔버스의 생동감을 상세히 살려내고, 마그리트 그림에 깃든 활기를 되살리면서 그의 그림을 살아움직이게 만든다. 이 책을 올해의 미술 책이라 말하고픈 이유다. 기존 마그리트를 다루는 책은 어릴 적 그의 어머니가 자살하여서, 얼굴에 천을 두른 채 발견된 경험에만 초점을 맞춘다. 이 책은 그러한 해석이 마그리트를 정신분석학/트라우마에 가두며, 그의 미술을 해석할 폭넓은 가능성을 제거한다고 본다. 또한 르네 마그리트도 앙드레 브르통을 위시로 한 초현실주의를 거부하고, 폴 발레리 등에 매료되었던 벨기에 아방가르드의 일원으로 활동한 점을 근거로 둔다. 작가는 마그리트가 14살 때, 마그리트의 사랑을 처음 만난 회전목마를 중심 이미지로 마그리트의 세계를 차츰 연결해나가는데 이걸 보는 재미가 장난이 아니다. 루이 푀이야드의 연쇄극에 드러나는 미장센(프레임 속 프레임이라는 이중 구도를 처음 드러내면서 연극적 스테이징을 마련한 첫 시네아스트가 루이 푀이야드다.)이 어떻게 마그리트의 그림에 반영되었는가를 살피는 장면이 그야말로 압권이다. 앞서 말했듯 <연인들>도 이 작가는 어머니의 죽음으로부터 해방시키면서 당시 마그리트가 본 영화와의 유사성을 설명한다. 그제야 <연인들>은 트라우마의 그림이 아니라 영화의 연장선으로 해석되어서 생기를 얻게 된다. 마그리트의 세계관을 이리 획기적으로 이야기하는 책은 지금껏 없어서 새로웠고, 미술이 어찌 매체를 횡단하는가를 연구하고픈 사람들에게도 추천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