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못은 우리 별에 있어
존 그린 지음, 김지원 옮김 / 북폴리오 / 2012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잘못은 우리 별에 있어는 사실 읽은지 꽤 되는 책이다.
그런데 이제와서 이렇게 글을 쓰는 이유가 뭐냐고 한다면 글쎄, 텅 빈 독서노트란을 채워넣고 싶어서?
의도가 영 불순하다.
어쨌든 책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보자면, 나는 영화를 보기전에 책을 먼저 접했다. 원래 책이 원작인 영화가있으면 꼭 책을 먼저 봐야한다는 나름의 규칙이 있기도 하고, 심지어 이 책은 영화가 있다는 것도 몰랐다.
책을 다 읽고나서야 이 책이 `안녕 헤이즐`의 원작임을 알아 급히 영화를 찾아봤지만 등장인물들의 이미지부터해서 내가 느꼈던 감동포인트들이 다 충족되지않아 그리 만족스럽지는 않았던 것으로 기억난다.

주인공 헤이즐은 암 환자이고, 엉뚱하고, 《장엄한 고뇌》를 몇십번씩이나 반복해 읽고, 개인적으로 조금 비관적으로까지 느껴졌다. 하지만 굉장히 매력적인 캐릭터임에는 변함이 없다. 특히 헤이즐의 특별한 장엄한 고뇌 사랑에 나는 인터넷에 장엄한 고뇌를 검색해 보기도 했다. 대체 어떤 책이기에, 한 사람의 사상에 이렇게 크게 영향을 미치는지 궁굼해서 읽어보고 싶었다. 물론 그런 책은 없었지만.

보통 책은 절정에서 가장 집중되며 책의 끝으로 가면 갈수록 집중력은 떨어지는 반면 여운은 늘어나기 마련이다. 그렇다고 수업시간에 배웠던 것 같다.
잘못은 우리 별에 있어는 나에겐 절정부분까지는 살짝 뻔했다. 반면에 책에 거의 끝에 와서는 앞 부분에 못 느꼈던 감동과 여운과 집중력이 한꺼번에 밀어닥쳤다.
덕분에 책의 마지막 부분은 몇번이나 돌이켜 읽었다.
글재주가없어 뛰어난 수식으로 뭐라 설명은 못 하겠다만은 결코 엄청난 책이었다. 영화에서도 그 감동의 반만 표현됬으면, 하는 아쉬움을 남기면서 노트를 마무리해야겠다. 참고로 지금 알라딘에서 이 책으로 이벤트도 하고있으니 읽어봤으면, 하는 사람들은 지금 이 기회에 꼭 읽어봤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