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치 - 2013 제37회 오늘의 작가상 수상작
이재찬 지음 / 민음사 / 201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 정신 세계의 무한한 영역을 상징하는 문학에 있어서도 금기시 되는 몇 가지가 있다. 존속 살해가 그 중의 하나일 것이다. 그것도 한국 문학에 있어서 부모를 청부살해하는 꽃다운 나이의 여고생이란 캐릭터는 분명 낯설고 충격적이고 부담스런 존재임에 틀림이 없다.

 

 인생에 있어서 가장 순수한 아름다움으로 가득차 있어야할 나이의 여고생이 자신을 둘러싼 가족과 교육과 종교에 상처받고 인간성을 상실한 채 오로지 살의만이 가득찬 강펀치를 날린다.

 

 대한민국의 평범한 여고생 중 한 명인 방인영은 잘 나가는 법무법인 소속 변호사인 아버지와 미모의 어머니를 부모로 두었지만 성적도 5등급, 외모도 5등급, 친구 관계도 5등급인 패배자 아닌 패배자의 삶을 살고 있다.

 

 유전무죄를 완벽하게 추종하며 돈벌기에 만 급급한 딸을 부끄러운 존재로 여기는 천박한 아버지, 그 아버지가 주는 물질적 혜택에 속박되어 자아를 잃어버린 채 오로지 딸의 대학 입시에 만 매달리는 어머니, 이 가족에겐 진정한 소통이나 따스한 관계맺기 같은 것은 애당초 없다.

 

 가식적인 평화만이 존재할 뿐이다. 숨통을 조여오는 가족의 구속에서 탈출하기 위해 인영은 교회에서 만난 모래위의 남자에게 부모의 살해를 청부하고 결국 자수하려는 그마저 자신의 손으로 독살하여 제거한다. 이처럼 반인륜적이고 비도덕적인 얘기를 저자는 너무나 가볍고 경쾌하게 풀어나간다. 딱 여고생이 인영의 수준에서 바라보고 느끼고 행동한다. 가족뿐 만 아니라 학교와 교회에 대해서도 가볍게 비트는 블랙유머로 마음껏 비꼬고 조롱한다.

 

 순수한 십 대라서 오히려 이렇게 두려움없이 세상을 향해 강펀치를 휘두를 수 있었던 것일까? 물론 인영은 기성세대로부터 상처입은 영혼이고 피해자이며 이유있는 반항을 하는 것임에 틀림이 없다. 그러나 이 세상 사람들 중에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자라면서 부모로부터 상처받아 보지 않은 사람이 얼마나 있겠으며 부조리한 사회에 반항심을 가져보지 않은 사람이 얼마나 있겠는가. 하지만 우리모무 인영처럼 하지는 않는다. 그 어떤 이유도 인영의 행위를 정당화 시킬 수는 없다. 범죄 이후 일말의 양심의 가책도 느끼지 않는 인영의 심리상태는 섬뜩하기까지 하다.

 

 작가야 말로 인영을 통해 우리에게 제대로 강펀치를 날리고 있는 건 아닐까.

 

 이런 괴물을 키워낸 건 바로 당신들이라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