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만명에서 단 한명으로
벤 피트릭.스콧 브라운 지음, 정지현 옮김 / 콘텐츠케이브 / 2013년 10월
평점 :
절판


 

 '인생은 롤러코스터 같다.'는 말이 있다. 이 세상 어느 누구도 그 말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을 것이다. 나이나 성별, 지위를 막론하고 모든 사람의 인생은 오르막과 내리막의 연속과 반복이다. 단지 정도의 차이, 인식의 차이만 존재할 뿐이다. 태양이 환하게 빛나는 푸른 하늘을 향해 한껏 비상하는 환희를 맛보다가도 어느 한순간 깊이를 알 수 없는 캄캄한 나락으로 곤두박질 치는 것.

 

 그 추락의 공포와 좌절감에서 누구는 다시는 일어날 수 없는 결정타를 맞기도 하고, 누구는 꿋꿋하게 다시 발걸음을 내딛기도 하고, 그리고 또 누군가는 오히려 완전히 새로운 삶을 시작하기도 한다.

 

 여기 너무나 뛰어난 신체능력과 겸손과 품격을 지닌 18세의 소년 벤 피트릭이 있다. 벤은 야구에서 특출한 경쟁력이 될 만한 요소는 모두 갖추었기에 동시대 최고의 선수가 될 것이라는 기대를 한 몸에 받는 촉망받는 선수였고 그런 그에게 한계는 없어 보였다. 벤은 당연히 메이저리그에서 뛰는 선수가 되었고 미래에 명예의 전당에 헌액될 거라는 전망을 들을 정도로 훌륭하게 자신의 역할을 수행했다. 그러나 인생의 양지는 잠시 뿐, 4만명 관중의 기립박수를 받으며 홈으로 들어오던 벤의 인생에 파킨슨 병이라는 족쇄가 채워지게 된 건 그의 나이 불과 22세 때였다. 평균 발병 나이 60세, 조기 발견 나이 40세가 대부분인 파킨슨 병이 너무나도 젊은 나이 그것도 자신의 신체를 백퍼센트 이용해야 하는 스포츠 선수인 벤에게 찾아왔다는 것은 바로 인생의 끝을 알리는 저승사자의 신호탄이었던 것이다.

 

 어쩌면 인생의 전부였을 야구도 은퇴할 수밖에 없었고 계속되는 약 복용으로 인한 후유증과 사지가 뻗뻗하게 굳거나 쉼 없이 흔들리기에 일상 생활을 지속하기가 불가능해진다. 주위 사람들에게 짐이 된다는 생각에 연락도 끊게 되고 점점 생의 의욕을 잃어가게 된다.

 

 이런 벤의 엉망진창이 된 인생을 제자리로 돌려놓은 건 바로 다름아닌 가족, 아내와 딸이었다. 급류에 휩쓸려 떠내려가는 벤에게 죽을 힘을 다해 배로 돌아가야한다는 것을 일깨워준 사람은 4만명의 관중이 아니라 자신의 가족이었던 것이다. 자신에게도 가족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가족에게도 자신이 필요한 존재임을 깨닫는 순간 벤은 인생의 진정한 의미를 찾은 것이다.

 

 야구선수 시절은 인생의 서막이었을 뿐이다. 가족과 고통과 사랑을 나누며 살아가는 사소한 일상 즉 인간스러운 삶이야 말로 너무나 큰 인생의 축복임을 깨닫고 자신에게 주어진 삶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며 감사하는 마음으로 살아가고 있다.

 

 밤 중에 잠에서 깨어난 딸 아이를 품에 안고 재워주는 일상적 행위를 해보는 것이 꿈에도 그려보는 큰 소망이었던 벤의 이야기를 보면서, 우리는 너무나 당연한 듯 주어지는 일상에 대해 겸허한 마음으로 감사와 행복을 느껴야할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자신의 삶의 행복과 불행을 결정 짓는 것도 결국은 자신의 몫이다.

 

 오늘 하루를 살 수 있었음을 그리고 자신을 필요로 하는 가족이 있음을 고마워하며 조금은 천천히 깊게 호흡해 보자.

 

 가슴 깊은 곳 마음 자리에 행복감이 샘물처럼 차오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