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8, 두 친구 - 한국전쟁 71주년 기획소설 생각학교 클클문고
정명섭 지음 / 생각학교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48, 우리나라의 주권이 오롯이 우리의 것이 아직 아니었던 혼란한 그시대를 고스란히 한권에 담았습니다.
그때 신문 기사에 기재된 사건과, 보도 뉴스들이 논픽션 드라인양 너무나 현실적으로 생생히 지문에 실려 있습니다.
특히나 주석으로 달린 실제 검증 자료를 보면서 지금 소설책을 읽고 있나? 역사서를 읽고 있나? 고민도 되면서 놓쳤던 그시대의 사건들을 알게 되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역사에 관심이 많지만 이상하리 광복이후 근현대사 쯤에 도착하면 정치와 연관된 사회와 문화에 흥미도 떨어지고 관심도 덜해 기억하는 사건이 많지 않네요.
1948, 두 이념의 첨예한 갈등속 각각의 입장을 대변하는 주섭과 희준이 있습니다. 일본에서 건너와 남한이 낯선 주섭은 관동대지진 이후 일본인들의 만행에서 구해준 사회주의에 호의적이며 힘들게 독립한 나라가 남북 둘로 나뉘길 원치 않습니다.
북에서 넘어온 희준은 독립후 소련 공산당의 영향으로 살던 땅을 등지게 되면서 먼 남한땅이 낯설지만 남한 만의 단독 정부가 세워져야 한다 여깁니다. 빨갱이는 절대 사절입니다.
같은 민족 같은 동포가 둘로 나뉩니다. 사회주의와 민주주의, 미국과 소련이라는 배경으로 낯선 서울에와 같은 취미와 같은 마음의 단짝이 등을 돌립니다.
동족상잔의 비극을 은유적으로 보여줍니다.
이 둘의 싸움을 지켜보는 한 친구가 있습니다.
뒤에서 보면 늘 불안하다며 둘을 연결시켜 주던 나상식 , 그 또한 대한민국 서울에 살고 있는 청년입니다.
누군가는 이념 앞에 싸움을 재촉할 때 생계가 어려워 그 싸움조차 무의미합니다.

'사회주의든 뭐든 결국 사람을 잘살게 만들려는 거잖아? 근데 그것 때문에 서로 멱살잡고, 싸움하고 그러다 몽둥이들고 총질도 할거 아냐? '
---------------?-----------------------1948 두친구 나성식 曰

그리 말하던 성식은 가난때문에 시장에서 주 워온 복어알을 생선알이줄 알고 끓여먹고 일가족이 사망합니다. 이념과 분쟁속 싸우던 두 친구도 결국 성식의 죽음에 화해합니다.
하지만 결국 주섭의 가족이 안동으로 내려가는 길 열차사고로 부모님을 잃고 주섭은 남한을 원망하며 월북합니다.
그 즘 희준 역시 여수반란 사건으로 사랑하는 형을 잃고 북한에 대한 적개심으로 군인이 되길 결심합니다.
책은 목차는 1948년 1월부터 1950년 6월까지의 이야기입니다. 결국 6.25 전쟁터에서 두 친구는 조우하는 듯 합니다. 각자의 이념과 각자의 아픔으로 다른 길을 가는 두 친구는 결국 행복하게 살고 싶어서 그걸 망친 상대에 대한 울분에 목표가 달라집니다.
분단이 된지 어연 70년 여전히 같은 민족이 총뿌리를 겨누고 있습니다. 예전 '태극기 휘날리며'라는 영화에서 형제가 전쟁터에서 적군으로 만났던 그 장면이 책의 마지막과 겹칩니다.
성식이의 얘기처럼 그저 함께 잘 살기 위함이었을 텐데요. 우정보다 이념이 중요했던 시대. 오히려 전 이념보다 삶이 아픔에 분노했던 시대인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