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한 직업! 저승 차사 단비어린이 문학
정종영 지음, 미우 그림 / 단비어린이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인듯 소설아닌 소설

이 책을 덮으며 들었던 생각이다.
허구적 상상력으로 썼다기에는 너무도 리얼한 저승사자 업무에 대한 설명과 더불어, 옛 상례문화와 제례문화에 대한 설명까지 자세히 나타나 있다. 아이들에게 새로운 지식정보 책이 될 듯 하다.
제목부터 흥미롭게 극한직업 저승사자다.
사람이 죽어 혼이 처음 만나는 존재가 저승사자라 생각할 때 어느 때, 어느 공간에서 (나 처럼 삶에 애착이 강한 이들이 많을터라) 그 실랑이 속에 망자를 저승으로 데려가는 일은 쉽지 않을 거라 짐작을 했다.
하지만, 책을 몇 장 읽지 않고 제목의 의미가 그것이 아님을 알게 되었다.
주소지 불명
세상이 변해 가족의 모습도 바뀌고 사는 집의형태도 달라 망자가 있는 주소지를 찾기도 힘들고 그나마 도와줄 문을 지키는 문왕신이 도망가(아파트 공동현관 영향) 더 난국이다.
예전 어느 드라마에서 시어머니가 집을 찾지못하게 아파트 이름이 영어로 되어 있고 공동현관 비번이 있는 것이 나온적 있다.
어찌보면 저승사자만이 집을 못찾는 것이 아니라 우리 어르신들도 아들집 찾기 어렵다.
인성이를 통해 저승에서 골치 아픈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며 오히려 현대사회의 문제점을 빗대어 비판하고 있다.​
이 시대를 살아가는 학생들의 고단한 하루를 엿보며 난 내 아이를 그 학원 무리속에 끼워넣지 않았구나! 안도해보다가 결국은 또 그리 되겠구나 싶었다.
한 편 아이들이 쓰는 내일락서를 보며 흐뭇하기도 했다. 미래 나의 모습을 미리 챙겨보고 삶의 그래프도 짐작해보면 앞으로의 목적의식도 뚜렷해져 이룰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진다.
요즘 민감하게 언급되는 택배근로자에 대한 죽음과, 상례문화에 대한 언급까지 현실문제를 살펴시 집어들면서 독자로 하여금스스로 비판하게 만든다.
아이들이 사회이슈에 쉽게 다가갈 수 있게했다.
특히나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주인공이 아이 (인성이)의 입장과 시선으로 바라봐 더 공감이 갈 듯 하다.
개인적으로 소설속 등장 배경에 대구 달서구 지명이 언급될때, 더 관심이 갔다. 학교를 찾아 해맬때 혹여 내가 아는학교 이름이 나올까 기대도 되었다.(사담)
이야기 속 지명이나 인물이 익숙함으로 다가올 때 더 사실적이고 더 공감이 커지게 된다. 그런 의미에서 '극한직업 저승차사'는 나의 공감을 크게 일으켰다. 신과 함께를 떠올리며 읽게되는 묘미까지 함께 기여도가 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