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차 블랙펜 클럽 BLACK PEN CLUB 24
미야베 미유키 지음, 이영미 옮김 / 문학동네 / 201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야베 미유키 작가는 혼마 슌스케 형사의 뒤를 독자가 따라가게 하는 방법을 쓰고 있다. 독자는 책 속에 빠져들어 마치 팀의 한 멤버가 된 양, 함께 추적에 나선다. 흥미로웠던 것은 대부분 추리물에서 주인공 혼자 또는 동료 한, 두 명과 함께 사건을 파헤치고 해결하는데 이 작품에서는 주위에 부탁하기도 하고 여기 저기 의견을 듣기도 해서 진행해 나가는 것이었다. 낯설기는 했지만 좀 더 현실적이라고 표현하는 게 맞겠다. 아무튼 멋진 장면이나 격렬한 싸움 장면 없이도 평이한 문체로 슌스케 형사와 함께 독자를 이리저리 끌고 다니는 작가의 능력이 놀라웠다.

 

 

책의 외관과 영화 티켓.

 

 

영화는 책과 다른 부분이 많았다. 영화 속에서 긴박감을 표현하기 위해 많은 부분을 축소한 것 같다. 혼마 슌스케 형사(조성하 분)가 의뢰인의 아저씨로 나오지 않고 사촌 형으로 나왔고 의뢰인인 가즈야(이선균 분)의 직업이 원작에서 은행원인데 영화에서는 동물병원 원장으로 나온다. 원작에서 가즈야의 비중이 거의 없는데 반하여 영화에서는 이선균이 주인공이라 할 만큼 큰 비중을 가진다. 은행보다는 동물병원이 공간도 작고 집중하기에 더 유리했을 것이다. 여러 인물들도 대폭 축소되었는데 2시간이라는 제한이 있는 점에서는 어쩔 수 없는 선택인 듯 보인다.

 

 

‘화차’ 영화 티켓.

 

 

영화의 마무리가 다소 아쉬웠다. 원작은 신조 교코를 만나는 장면으로 막을 내리면서 그 이후의 상황을 독자의 상상에 맡긴다. 하지만 영화는 결국 신조 쿄고(김민희 분)를 죽게 만드는데 그 과정에서 긴박했던 진행이 느려지고 주위 인물들의 다소 억지스럽고 과장된 연기가 몰입을 방해했다. 원작과는 다르게 좀 더 극적인 분위기를 살리려는 의도로 보였으나 없느니만 못했다.

 

원작을 읽으면 ‘영화로 어떻게 만들었을까’ 무척 궁금하고 개봉일이 기다려진다. 물론 내용을 알고 보기 때문에 영화의 긴장감은 다소 떨어진다. 하지만 스크린에서 한 발짝 물러서서 작품의 변화된 모습을 지켜보는 것 또한 색다른 맛이다. 가끔 ‘완득이’처럼 원작을 뛰어넘는 영화를 건지는 것도 큰 기쁨 중 하나이다. 원작을 읽지 않고서는 그 기쁨을 모를 것이다.

 

 

정리하다가 12년 전의 복권을 발견했다. 이름하여 ‘밀레니엄 복권’. 새 천년의 시작(2000년)에 나온 복권이다. 2년 후의 한일월드컵 기금 조성을 위해 월드컵 복권이라는 부제도 붙어있다. ‘화차’의 책갈피로 사용하니 책의 내용과도 조화가 되는 느낌이다. 복권 당첨되어 행복해지고 싶었던 것뿐인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