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공간
미치오 가쿠 / 김영사 / 1997년 3월
평점 :
절판


원래는 하나의 우주가 있어서 10차원의 완벽한 조화를 이루며 모든 것이 아름다웠을지도 모른다. 아마 아인슈타인 박사가 그리도 염원했던 소위 `대리석의 우주`라면 바로 이것이었을 것이다.

원인은 알 수 없지만 이 10차원의 우주가 붕괴되면서 각기 4차원과 6차원을 가지는 두 개의 우주로 갈라져 4차원의 우주는 우리가 살고 있는 물질로 구성된 3차원을 포함하는 세상이고, 6차원 우주는 추정하기를 광자나 포티노 등의 에너지로 구성되어진 고차원의 우주라고 말하는 견해도 있다.

3차원의 공간에 시간이라는 1차원을 더해 4차원의 세계관을 제시한 아인슈타인 박사도 궁극적으로는 이 세계가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지 `신의 의도`를 알고 싶었다. "...신은 주사위를 던지지 않는다..."는 말과 함께 양자역학의 불확실성을 배격했던 그 였지만, 어쨌든 그의 바램은 후학들의 몫으로 남겨졌다.

오늘날의 물리학자들은 더 나아가 황당한(?) 이론들을 제기하고 있다. 공개적으로 주장할 경우 세간의 비웃음을 살지도 모를 일이지만 이미 상당수의 학자들 사이에는 공감대가 폭넓게 형성되어 있기도 하다. 해킹 싸이트를 방황하다가 우연히 알게된 이 책에서 그간 사람들이 인식해오던 `세계관`이 얼마나 편협하고, 단순했는지를 알 수 있다.

사람들은 흔히 어떤 현상이나 이론에 대해 `과학적인 증명`을 요구하는 것을 굉장히 당연시한다. 그런데, 이 `과학`이라는 것으로도 증명을 하지 못하는 것이 한 둘이 아니다. 그 이유에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현재의 과학수준이 알고 보면 우리가 생각하는 것만큼 그리 높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지금의 과학이라는 학문이 실제 이 우주와 대자연을 이해하기에는 그 틀이 매우 좁다는 것이다. 이 4차원 세계의 시각과 인식을 기반으로 하는 논리가 더 큰 차원의 세계를 담기에는 그 그릇이 너무나도 작다고 할 수밖에 없다. 그럼 그 틀을 한 번 깨는 시도를 해보자.

4차원을 털어내고, 보다 고차원으로 인식과 의식을 확장하면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이 세계를 벗어나 더 크고 넓은 세계에 대한 이해가 이루어질 수 있다. 3차원까지는 어떤 모식도나 그래프로 시각화가 가능하지만 4차원 이상은 우리가 눈으로 본 적이 없으므로 이런 것들이 불가능하다.

여기에 쓰일 수 있는 것이 바로 `수식`이다. 수식을 이용하면 4차원 아니라 더 고차원도 표현이 가능해진다. 그리하여 현재까지의 수준으로 이해할 수 없었던 현상과 가설들이 11차원 혹은 26차원에서 통합되며 일목요연해지는 일들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이로써 모든 현상들은 `보다 높은 차원`에서 자기 모순없이 설명될 때 더 간단하게 표현되고, 강력해진다고 할 수 있고, 마치 그 옛날 지구가 둥근가 평평한가를 놓고 논쟁을 벌이는 사람들을 데리고 지구 밖으로 나가 "자, 이것이 지구다."라는 말 한마디에 모든 것이 해결되는 것과 같은 이치다.

이런 것들이 결실을 보게되면 아직까지 말 그대로 가설과 이론의 단계인 평행우주, 웜 홀(worm hole)을 이용한 시공간의 이동, 초 끈(super string)이론, 아인슈타인 박사의 미완성 연구인 `통일장 이론` 등에 대한 연구의 새로운 확장이 눈 앞에 펼쳐지게 되고, 아울러 이러한 연구들이 `대통합 이론`을 이끌어내는 요소가 될지도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