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 항우울제 대신 시를 처방해 주세요 - 오늘도 잘 살아 낸 당신의 마음을 토닥이는 다정한 심리학 편지
성유미 지음 / 서삼독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늘도 잘 살아 낸 당신의 마음을 토닥이는 다정한 심리학 편지'라는 부제가 붙은 이 책은 정신과 전문의이자 국제정신분석가이기도 한 성유미 로아정신클리닉 원장이 항우울제만으로는 내담자들의 마음을 치유하기엔 많은 아쉬움이 남아 쓰게 되었다.
질문 19개에 대한 답은 담은 이 책은 심리학에 마음을 위로해 줄 수 있는 시(詩)를 함께 엮어 냈다.

포켓북 사이즈에 연한 레몬색 점착메모지를 연상시키는 표지 디자인, 그 위에 가는 펜으로 그린 강아지가 소파에 앉아 책을 보는 삽화는 전체적으로 편안한 느낌을 준다.

본문 내지에도 바뀌는 상담사례를 구분 짓는 여분 페이지를 두어 저자가 소개한 시를 한번씩 필사해봐도 좋을 듯 하다.

책의 말미엔 '부록' 대신 '추신'이라는 꼭지로 '추신1-당신에게 조금 더 전하고 싶은 이야기' 에서는 네 가지의 고민 유형, 즉 홀로서기, 현실의 벽에 좌절, 답답해서 울고 싶은 감정, 행복에 대한 고민에 대한 개별적 시 처방과 조언을 들려준다. '추신2-항우울제 대신 힘이 되어 줄 시 처방전 다시 읽기'에서 본문에서 소개했던 시들을 순서대로 모아 수록했다. 독자들이 한번 더 시의 묘미를 느낄 수 있도록.
그리고 맨 마지막 지면엔 시의 출처도 밝혀두고 있어서 본문에 인용된 시 외에도 원작 시들을 찾아볼 수 있도록 안내한다.

또한 "저작권자와 연락이 닿지 않아 부득이하게 허락을 받지 못하고 수록한 작품에 대해서는 추후 저작권에 확인되는 대로 절차에 따라 계약한 후 저작권료를 지불하겠습니다." 라는 출판사측의 명확한 언급은 추후 불측의 송사에 대비한 것으로도 보이는데, 평소 출판사의 저작권 관련 업무가 정치(精緻)함을 알 수 있다.

개인적으로는 포케북 사이즈여서 휴대하기 편리하고 타 심리학 도서처럼 어려운 용어들로 무장한 딱딱한 심리치료서가 아니라서 좋다.
게다가 처방한 시들도 고도의 은유와 수사로 쓰여진 시가 아니라서 새롭다.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윤동주의 '서시' 외에도 윤동주의 시를 두어 편 더 소개한다. 그 중 꿈이 없어 고민하는 내담자를 위해 처방한 '무얼 먹고 사나'는 생소하면서도 간결해서 좋았다. 수년 전 <<동주>>라는 영화 속 장면 중 숲속을 거닐던 윤동주가 떠오르며.

"바닷가 사람
물고기 잡아 먹고 살고

산골엣 사람
감자 구워 먹고 살고
별나라 사람
무얼 먹고 사나."(본문 p.193)

꿈이 없다고 자책하는 사람들을 위해 처방한 백창우 시인의 '길이 끝나는 곳에서 길은 다시 시작되고'가 이 책의 수록 작품 중 개인적으로는 가장 기억에 남는다.

"이렇게 아무런 꿈도 없이 살아갈 수는 없지
가문 가슴에, 어둡고 막막한 가슴에
푸른 하늘 열릴 날이 있을거야
고운 아침 맞을 날이 있을거야
길이 없다고, 길이 보이지 않는다고
그대, 그 자리에 머물지 말렴.
길이 끝나는 곳에서 길은 다시 시작되고
그 길 위로 희망의 별 오를테니

길을 가는 사람만이 볼 수 있지
길을 가는 사람만이 닿을 수 있지
걸어가렴, 어느 날 그대 마음에 난 길 위로
그대 꿈꾸던 세상의 음악이 울릴테니
지금까지 걸어온 길과 이제부터 걸어갈 길 사이에
겨울나무처럼 그대는 고단하게 서 있지만
길은 끝나지 않았어, 끝이라고 생각될 때 그때가 바로, 다시 시작해야 할 때인걸"(본문 p.195-196)

한 걸음 떼기조차, 한 글자 읽기조차 힘든 사람들 있다면, 정신과 전문의 성유미 원장님이 쓴 이 책 속 시만이라도 따라 읽고, 쓰며 한 걸음 떼고, 한 줄 읽어보자.
독하고 내성 생길지 모를 항우울제 먹는 대신.

본 서평은 서삼독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