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성 : 논제 10가지 - 2023 세종도서 학술부문
김태훈 지음 / 글로벌콘텐츠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제목에서 이미 느껴지듯, '도덕성'에 대한 열 가지의 논제에 대해 저자가 다양한 연구자들의 주장을 소개하고 자신의 오랜 연구를 통한 분석과 의견을 실어 깊이를 더했다.

저자는 현재 공주교대 윤리교육과 교수로 재직중인 김태훈 교수님이다. <덕 교육론> <도덕성 발달이론과 교육>등 윤리 분야의 다수의 저서에 대한 번역도 하는 등 평생을 도덕교육에 힘쓰고 있다.

저자가 이미 프롤로그에서 "이 책은 그동안 필자가 관련 학회에서 발표했던 논문들을 중심으로 수정과 보완 작업을 하고 새로운 글을 더하여 모두 10장으로 구성되었다."(p.15)고 언급한다.
앞 표지의 계단을 오르듯, 도덕적 개념 정의로 시작하여 도덕성, 부도덕성의 행동의 원인이나 동기를 밝히고, 결론에 해당하는 마지막 장에서 개인적 도덕성 발달 방안 등을 다루는 점층적 구조 방식으로 서술했다.

목차에서는 각 장을 '논제'라는 표현으로 대신하고 있다. 매 논제의 시작과 끝은 각각 '머리말'과 '맺음말'이라는 항목을 두어, 우리가 흔히 학창시절 배웠던 논설문 3단 구성인 서론-본론-결론의 형식을 띠고 있다.

논제1 도덕성이란 무엇인가?

-'도덕', '윤리' ,'도덕성'의 용어 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도덕성의 개념을 기존의 도덕철학 및 도덕심리학적 관점에서 벗어나 인문, 사회과학과 자연과학의 통합적 관점에서 정의하고 그의 특성을 논의한다.

논제2-인간은 선한가?

-우리에게 익숙한 동양의 유가 철학자 맹자와 순자의 인성론을 실마리로 논제를 풀어간다. 맹자와 순자가 자신들이 주장하는 성선과 성악의 근거를 어디에서 찾고 있는지 고찰하고,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이들의 담론을 어떻게 이해하고 평가해야 할 것인지 밝힌다.

논제3 나는 왜 도덕적이어야 하는가?

-이 물음에 내포된 '도덕적'이라는 말이 어떤 의미를 지니며, '우리'가 아닌 '나'는 왜 그러한 삶을 중시하며 살아야 하는가의 문제를 논의한다. 그동안 도덕철학 분야에서 이 물음과 관련하여 제시되었던 답변들을 외재적 동기에서 나오는 것과 내재적 동기에서 나오는 것으로 구분하여 비판적으로 검토한 후, 실제적이고 경험적인 차원에서 이 물음에 대한 답변을 모색한다.

논제4 앎과 행동이 늘 일치하지만은 않은 까닭은 무엇인가?

-동서양을 막론하고 지행일치의 문제는 철학적 담론의 화두에 해당한다. 여기에서는 동양철학자 주자朱子와 양명陽明이 제기했던 지행병진知行竝進과 지행합일知行合一 학설의 핵심적인 논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이어, 앎知과 실천行 사이의 심리적 공간에 존재하는 요소들과 그의 작동 기제를 제시하고, 도덕적 행동을 위한 동기가 다원적으로 유발되는 사정을 다양한 사례를 통해 논의한다.

논제5 우리의 도덕적 행동을 이끄는 동기는 무엇인가?

-블라시 A. Blasi가 이와 관련하여 제시한 자아 모델self model과 그의 확장적 성격의 도덕적 인격 모델moral character model을 차례로 논의한다. 그리고 도덕적 자아 정체성을 중심으로 우리의 도덕적 행동을 이끄는 동기에 관하여 종합적으로 논의한다. 그리고 도덕적 자아 정체성을 중심으로 우리의 도덕적 행동을 이끄는 동기에 관하여 종합적으로 논의한다.

논제6 우리는 왜 부도덕한 행동을 하는가?

-사람들이 부도덕한 행동을 하게 되는 근원이 어디에 있는지를 도덕규범의 진화 역사적 관점에서 추론하고, 사람이 부도덕한 행동을 한 이후에 자신의 행동을 어떻게 정당화하는지 그 기저에 놓여 있는 심리적 기제를 통해 논의한다.

논제7 공감의 정서는 도덕성 발달에 어떤 역할을 하는가?

-공감의 의미를 비슷하지만 뜻은 다른 동정과 비교하여 개념 정의한 후, 공감의 구성요소, 생물학적 기반, 그의 발달 기제를 고찰한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의 도덕성 발달에서 공감의 정서가 발휘하는 역할을 논의한다.

논제8 죄책감과 수치심은 도덕성 발달을 저해하는가?

-죄책감과 수치심이 개념상 어떤 차이가 있는지 검토하고, 선행연구들을 중심으로 그의 발달 과정을 추적한다. 죄책감과 수치심의 도덕정 정서가 우리의 도덕성 발달에 어떤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지 논의하고, 우리가 어떤 측면에 유의해야 할 것인지를 밝힌다.

논제9 도덕성은 언어의 감옥에 갇혀 있는가?

-인간의 도덕성과 언어가 그 기원과 발달에 있어서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발달심리학, 진화심리학, 신경과학의 관점에서 검토한다. 특히 도덕성의 형성과 발달이 언어의 등장을 전제로 하였는지 혹은 언어의 등장과 무관하게 이전부터 발달하기 시작하였는지 인류의 진화 역사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그리고 도덕성(도덕적 사고)와 언어의 지배적 상관성과 관련한 논란을 규명한다.

논제10 나의 도덕성은 어떻게 발달하는가?

-도덕성의 구성적 발달을 위한 예비적 논의로 도덕성의 발달을 바라보는 관점들과 도덕 판단의 정당화 문제를 고찰한다. 그리고 나의 도덕성을 어떻게 정립해 나가야 할 것인가의 구성적 방법론의 방안을 논의한다. 이는 도덕적 존재자로서 삶을 주체적으로 살아가고자 하는 사람에게 시사점이 될 것이다.

이와 같이 이 책은 주로 철학을 전공하는 학부생이거나 논문을 주로 써야 하는 대학원생들에게 '도덕성'에 대한 확실한 개념 정립을 돕는 참고서로 활용하면 좋겠다. 또한, 단편적 지식만 소비되는 요즘 사회에서 이처럼 근원적이고 실체적인 물음에 답하는 철학서를 읽으며 뇌를 깨워보자!

본 서평은 글로벌콘텐츠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