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신주의 맨얼굴의 철학 당당한 인문학 - 지승호가 묻고 강신주가 답하다
강신주.지승호 지음 / 시대의창 / 2013년 5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지승호라는 인터뷰어가 강신주라는 철학자를 인터뷰하고 받아 적은 내용을 책으로 옮긴 것입니다.
강신주는 장자철학을 전공한후 철학을 설명하는 것을 업으로 살고 있는 거리의 철학자입니다. 장자의 사상은 유학에 대한 반테제로 의미를 지니는데, 보통 우리에게 무위자연이라는 말로 상징되고 있습니다. 장자는 호접지몽이라는 메타포를 통하여, 현실과 꿈이 둘이 아니라는 언급을 하며 현실의 허구성을 깨기를 촉구합니다. 언어란 것은 지도가 그러하듯이 현실에 대한 은유는 될 수 있어도 존재 그 자체는 될 수 없는데, 언어체계에 단련된 우리의 영혼은 언어로 형성된 세계와 실체 세계를 혼동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환상을 깨기위한 노력은 이미 서구에서 니체로부터 시작하여, 비트겐슈타인의 언어철학에서 최고의 경지에 이르게 됩니다.
장자에 대한 논의는 또 선불교와 이어지기 때문에, 불교 사상과 힌두교 사상까지 아우르게 되어 사실상 동양 사상의 중심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고 할 것입니다.

이 책은 철학이 무엇인지,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을 가지고 있는 진지한 구도자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또한 지금 자본주의 경제질서가 인간소외와 갈등을 낳는 이유이기 때문에 우리 시대를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자본주의에 대한 공부가 필수적이라고 할 것인데, 현대의 주요 사상가들의 사상을 압축적으로 전달해 주어 이 책은 이러한 자본주의 비판에 대한 공부의 입문서로서도 좋은 역할을 한다고 할 수있습니다.

끝으로 철학은 자기 반성의 다른 이름이라고 할 것입니다. 근대 사회에서 데카르트의 성찰이란 책의 등장이 상징하듯이, 반성이란 것이 새로운 현상으로 등장하였고, 이러한 태도는 철학의 시대를 열게 되었습니다. 현대인에게 철학을 한다는 것은 스스로에 대한 개인적 차원에서, 또 사회적 차원에서 자기 반성에 나아가는 것이고, 이러한 반성에는 준거가 있어야 하는데, 준거를 만드는 데는 선배 철학자들의 도움이 꼭 필요하다고 할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향연 정암학당 플라톤 전집 10
플라톤 지음, 강철웅 옮김 / 이제이북스 / 2010년 1월
평점 :
절판


사랑에 대해 고찰한 최고의 고전입니다. 번역에 많은 정성을 쏟은 것 같아 읽기에 편안하고, 주석도 충실하게 달려 있어서 혼자 읽기에 충분합니다. 향연의 수많은 번역본 가운데 단연 으뜸이라고 할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트겐슈타인과 세기말 빈 - 합스부르크 제국의 마지막 나날과 <논리철학논고>의 탄생
앨런 재닉, 스티븐 툴민 지음, 석기용 옮김 / 필로소픽 / 2013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비트겐슈타인에 대한 이해를 위한 초석이 됩니다. 논리철학논고를 읽기위한 준비 작업으로 좋답니다. 참고로 이 책에는 세기말 빈으로 상징되는 메가폴리스의 등장에 따른 새로운 문제들은 지금 우리들에게도 시사하는 점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젊은 한의사가 쉽게 풀어 쓴 음양오행 세트 - 전3권 젊은 한의사가 쉽게 풀어 쓴 음양오행
전창선.어윤형 지음 / 와이겔리 / 201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동양 사상에 대한 쉽고 간략한 입문서라고 할 것입니다. 음양오행은 동양 사상의 출발점이므로 이 책을 통해 기본개념을 잡을 수 있습니다. 삽화가 첨부되어있어 이해하기쉽고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1 - 스완네 집 쪽으로 1
마르셀 프루스트 지음, 김희영 옮김 / 민음사 / 201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의식의 흐름에 따른 심리 묘사 기법이 퍽 인상적 입니다. 자신의 심리변화를 이렇게 구체적으로 서술할 한 프루스트의 천재성에 감탄할 따름입니다. 이 책을 잘 음미한다면 우리 스스로의 무의식에 대해서도 자각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