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프로이트의 환자들 - 정신분석을 낳은 150가지 사례 이야기
김서영 지음 / 프로네시스(웅진) / 2010년 12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프로이트의 치료사례 정리하여 수록해놓은 책입니다. 프로이트는 생전에 20여권의 책을 내었는데 그 내용이 자신이 환자들과 상담한 것을 정리한 것이라 매우 장황한데, 이 책은 상담내용을 적절히 요약 정리해 두어 일목요연하게 이해하기 쉽게 서술된 책입니다. 프로이트의 심리학에 대한 기초를 세우거나, 입문하고자 하는 사람들은 참고하시면 도움은 받을 수 있습니다.
프로이트는 인간의 심리를 역학에 비유하여 작용과 반작용의 법칙과 같은 물리 현상이 무의식에도 작용한다고 하여, 에고와 이드 초자아를 나누어 각각이 우리 무의식 내부에서 하나의 힘으로 작용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자신의 삶에 대한 반성적 성찰을 위해서는 이러한 정신분석학적인 논리와 틀이 있으면 매우 유용하고, 또한 사람의 심리 형성 기제는 대체로 유사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의 사례를 풍부하게 접해보면 자신도 비슷하게 작용한다는 것을 이해하고 자신의 내면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정신분석학은 태생적인 한계가 있는데, 모든 문제를 과거를 의식화하는 것에만 촛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사실 정신분석은 우리가 어렸을 때부터 해온 자기 반성의 다른 모습에 불과합니다.) 사회적 개인으로서 실천의 문제에 매우 소홀한 점 등을 약점으로 지적할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은 이성만을 강조하고 이성이외의 측면은 모두 열등시하고 병적힌 현상으로 치부하였고, 프로이트 당대에도 과연 정신분석으로 치료된 환자들이 10% 정도에 불과하여 거의 기적을 바라는 행위에 불과했다는 비판도 있습니다.(이러한 비판은 미셀옹프레 '우상의 추락'참조)
끝으로, 이 책은 평면적으로 프로이트의 치료 사례들만 나열해 놓아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을 제대로 이해하고자 하는 독자들은 신중히 선택해야 할 것 같습니다. 과연 프로이트의 치료사례를 평면적으로 나열하는데, 이렇게 두꺼운 책을 만들필요가 있는지 의문이 들고, 대다수의 독자들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 자체를 체계적으로 이용하고 스스로의 내면을 분석하는 데 유용하게 이용하고자 하는 의도로 프로이트 입문서를 찾는데, 이런 목적에 부합하는지 약간은 의문이 듭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