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이트의 의자 - 숨겨진 나와 마주하는 정신분석 이야기
정도언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9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프로이트의 심리학에 대한 정리를 담은 책입니다.프로이트는 인간의 심리를 역학에 비유하여 작용과 반작용의 법칙과 같은 물리 현상이 무의식에도 작용한다고 하여, 에고와 이드 초자아를 나누어 각각이 우리 무의식 내부에서 하나의 힘으로 작용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자신의 삶에 대한 반성적 성찰을 위해서는 이러한 정신분석학적인 논리와 틀이 있으면 매우 유용하고, 또한 사람의 심리 형성 기제는 대체로 유사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의 사례를 풍부하게 접해보면 자신도 비슷하게 작용한다는 것을 이해하고 자신의 내면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우리의 무의식을 형성하는데 가족은 막대한 영향력을 끼치고 있습니다. 가족은 우리에게 양면적인 존재입니다. 항상 고민거리와 걱정거리를 주고, 또 어떤 경우에는 도움을 줘서 우리를 살게 해 줍니다. 어렸을 적에 부모는 우리에게 무의식속에 많은 생각의 씨앗을 뿌려두기 때문에 우리는 삶속에서 많은 문제점을 만나게 됩니다. 이러한 문제들은 우리가 어떻게 그렇게 생각하게 되었는지 기억들을 떠올려 의식화하여 그 기억들을 정리한다면 마음이 훨씬 홀가분해지는 경험을 하게 됩니다.

  

끝으로, 정신분석학은 태생적인 한계가 있는데,  모든 문제를 과거를 의식화하는 것에만 촛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사실 정신분석은 우리가 어렸을 때부터 해온 자기 반성의 다른 모습에 불과합니다.) 사회적 개인으로서 실천의 문제에 매우 소홀한 점 등을 약점으로 지적할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은 이성만을 강조하고 이성이외의 측면은 모두 열등시하고 병적힌 현상으로 치부하였고, 프로이트 당대에도 과연 정신분석으로 치료된 환자들이 10% 정도에 불과하여 거의 기적을 바라는 행위에 불과했다는 비판도 있습니다.(이러한 비판은 미셀옹프레 '우상의 추락'참조) 하지만 이 모든 비판에도 불구하고 정신분석은 우리가 스스로를 자각하는데, 하나의 기준을 만들어 주는 점, 인간의 성격 형성과정에서 커다란 차이가 나지 않으므로, 타인의 성격형성에 관한 분석은 곧 자신의 내면분석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하다고 할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