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이 물었다, 어떻게 살 거냐고 - 찬란한 생의 끝에 만난 마지막 문장들
한스 할터 지음, 한윤진 옮김 / 포레스트북스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해가 가고 새로운 해가 시작되었다. 이렇게 오고 가고 또 올 것만 같아서인지 새해를 맞이해도 무덤덤하고 별다른 감흥이 없다. 뭔가 자극이 필요하다. 무심코 흘려보내는 유한한 생에 대하여 경각심을 갖고 감사함과 충만함으로 하루하루를 보내도록 각오를 새롭게 해야 할 때이다.


이 책은 죽음과 삶에 대하여 이야기한다. 인류사에서 선명하게 이름을 남기고 떠난 위인들의 업적과 마지막 말을 모아놓은 책으로, 존재를 증명하는 마지막 한마디를 되새겨보게 한다. 더불어 죽음은 우리에게 어떤 의미인지, 죽음을 통해 어떻게 삶을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과 답을 제시하여 확실한 삶의 철학을 일깨운다.



태어나는 모든 사물은 덧없으며

언젠가는 죽음에 이른다

<죽음이 물었다, 어떻게 살 거냐고> p022



책은 수많은 위인들의 삶과 죽음의 순간들을 구체적이면서 간략하게 소개하고 있다. 특히 눈여겨 본 위인들의 마지막 말을 옮겨보면, 종교 개혁자인 마틴 루터는 "우리가 가진 것이 아무것도 없는 빈털터리라는 것은 사실입니다."라는 자신이 깨달은 사실을 나직이 말하고 떠났고, 화려한 생을 살았던 영국의 소설가 오스카 와일드는 "나는 지금까지 살아온 것처럼 내 처지를 넘어 분에 넘치게 죽음을 맞이하네."라고 쾌활하고 풍자적인 그 다운 말을 남겼다.


격렬한 삶을 보낸 윈스턴 처칠의 유언도 인상적이다. "모든 것이 지루하구나." 은퇴 후 한가한 시간이 그에게는 어떠한 즐거움도 주지 못했던 모양이다. 찰스 다윈은 평생 진화를 연구해서인지 죽음에 대해서 담담했다."나는 죽음 앞에서 일말의 두려움도 갖지 않고 있다." 그만큼 존재의 본질을 정확하게 이해하기에 그럴 수 있는 것이겠지 싶다. 아무튼 이런 침착함이 부럽기만 하다. 자신의 무대에서 생을 마감하고 싶어 한 위인도 있다. 프랑스의 전설적인 무용가 조세핀 베이커는 그녀의 바람대로 파리의 큰 무대에서 춤을 추고 난 후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무언가에 열정을 다 바치고 그것과 함께 죽음을 맞이한다는 것은 어쩌면 최고로 행복한 죽음이 아닐까 싶다.



삶은 끝이라고 생각한 그 지점에서

가장 강렬하게 되살아난다

<죽음이 물었다, 어떻게 살 거냐고> p280



인간은 반드시 죽지만 그 순간을 미리 알 수는 없다. 또한 갑작스럽게 죽는 경우에는 가족들이 임종을 지키지 못하거나, 마지막 말을 남길 기회조차 갖지 못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런 경우를 제외하고는 많은 사람들이 남긴 마지막 문장 속에는 평생의 삶이 농축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고 책은 말한다. 어떤 사람의 마지막 말은 인생 그 자체를 보여주는 말일 수 있다고. 나는 이 책에서 위인들의 마지막 말과 삶의 방식은 어떤 연결고리가 있는지를 중점에 두고 읽었다. 책이 말한 대로 누군가의 삶의 방식과 최후의 말이 모두 일치하지는 않지만, 죽음은 급작스럽게 닥칠 수 있기에 잘 죽기 위해서는 잘 살아야 한다는 것을 다시금 깨달았다. 계속될 것만 같은 나의 하루는 어느 날 덧없이 멈출 것이고 생은 순식간에 사라질 것이다. 그러니 기억해야 한다. 지금이 얼마나 소중하고 감사한 순간인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