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펜하우어의 인생 수업 메이트북스 클래식 14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지음, 강현규 엮음, 이상희 옮김 / 메이트북스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와 결이 같은 사람을 만날 때 편안하고 즐거운 것처럼 책 역시 그렇다. 새로운 인식과 관점을 안겨주는 책도 좋고, 지혜와 용기를 선사하는 책도 좋지만 내 마음을 꿰뚫는 듯한 이야기를 통해 공감받고 위안을 얻을 때 적극적으로 책에 몰입하게 된다. 그런 까닭에 이 책을 읽으면서 쇼펜하우어의 철학이 내가 추구하고자 하는 삶과 너무도 닮아있음에 놀랐고 감탄했다. 전에는 그가 단순히 비관적이고 염세적인 시선을 가졌다고만 알고 있었는데 <쇼펜하우어의 인생 수업>을 통해 분명하게 알게 되었다. 쇼펜하우어는 행복과 인생에 대하여 내면의 깊은 깨달음을 바탕으로, 고통에 시달리는 영혼들에게 가장 설득력있는 철학을 들려주는 위대한 철학자이다.



사람을 불행하게 하는 것은

사물에 대한 우리의 생각이다.

<쇼펜하우어의 인생 수업>p063



쇼펜하우어는 이 책에서 사는 기술, 행복한 존재로서 살아가는 방법에 대하여 이야기한다. 그에 따르면 우리의 행복과 불행은 우리 스스로가 만들어낸 것으로 항상하지 않고 언제든 변하는 것이어서 빨간 렌즈를 끼고 세상을 보면 온 세상이 붉게 보이는 것처럼 어떤 관점으로 바라보느냐에 따라 세상은 달리보인다. 그러므로 자신이 렌즈를 끼고 보고 있다는 것을 자각하고 틀 밖으로 나와 바라봐야 세상을 제대로 볼 수 있다. 너무나 공감가는 말이다. 우리는 자신의 관점에 한계가 있음을 명확히 알아야 한다. 실제와 달리 과장되거나 왜곡된 관점때문에 깊은 고통을 느끼고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우리를 행복하게 또는 불행하게 만드는 것은 우리의 생각이라는 통찰을 통해 세상을 나의 주관적인 시선이 아닌 객관적인 시선으로 바라보면 우리는 행복한 존재로서 살아갈 수 있다.



인간이 가진 일반적인 어리석음을 없애기 위한 유일한 수단은

그 어리석음을 그 자체로 명확하게 인식하는 것이다.

<쇼펜하우어의 인생 수업>p092



그렇지만 책은 행복한 존재로 살아가려면 오히려 행복하려고 애쓰면 안된다고 역설한다. 부를 얻으려고, 즐거움과 기쁨을 누리려고, 남들에게 좋은 평가를 얻으려고 애쓸수록 불행해진다는 것이다. 쇼펜하우어는 행복은 마음의 평화와 만족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에 마음속 기대치를 낮춰야, 덜 불행하게 살려고 노력해야 행복해질 수 있다고 단호하게 가르침을 전한다. 충분히 설득되는 말이다. 우리의 걱정과 두려움의 대부분이 타인의 의견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된 것이기에 남의 시선을 신경쓸수록 행복과는 멀어지게 된다. 먼저 기술했듯이 나의 관점이 협소하고 제한적인 것처럼 남들의 의견역시 큰 의미 부여를 할 필요가 없다. 잘못된 의견과 오류투성이의 생각들 때문에 내 삶을 낭비하는 어리석음에서 벗어나야 마음이 평온해질 수 있다.



타인의 눈에 어떻게 보이는지에 따라

인간의 가치와 무가치가 결정된다면

그 존재는 아주 비참할 것이다.

<쇼펜하우어의 인생 수업>p101



책 속 많은 이야기들은 내가 찾던 말들이다. 익히 들어왔지만 행하기 어려워 모른척했던 말들인데 쇼펜하우어는 강력하고 명료하게 각인시킨다. 그동안의 걱정과 두려움의 원인이 외부의 문제때문이 아니라 자신의 내면 밑바닥에 깔려 있는 허영심과 가식, 과대망상 때문이었으니 더 이상 어리석게 살지 말라는 가르침이 특히 더 와닿았다. 내가 그토록 바라는 평안은 타인의 시선이나 상황의 개선이 아니라 존재의 가치를 부여하고 스스로 만족하는 것이라는 단호한 그의 가르침을 매번 잊는 이 마음에 다시한번 되새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