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번째 인류 - 죽음을 뛰어넘은 디지털 클론의 시대
한스 블록.모리츠 리제비크 지음, 강민경 옮김 / 흐름출판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화 속에서 본 복제인간이 현실이 된다면 어떨까? 내가 죽은 뒤에 평생 동안 남긴 수많은 데이터들을 모아 인공지능으로 나처럼 말하고, 생각하고, 행동하는 디지털 클론으로 다시 환생한다면 그것은 '나'라고 할 수 있을까? 당장 든 생각은 '의식'이 없기에 '인간다움'이 없기에 내가 아니라고 부정하고 싶다. 그리고 디지털 세상 속에서 영원히 산다는 것은 나에게 아무 의미도 없다고 말하고 싶다. 지금은 그렇다는 얘기다. 



유한성의 끝이 시작되고 있다 



<두 번째 인류>는 인간의 유한성을 극복하기 위해 디지털 인간을 재현해 내어 인간의 불멸성을 실현시키고자 하는 기술들의 현주소를 소개하고, 이러한 기술의 발전이 인간의 자아상에 어떤 의미인지, 인간다움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게 하는 책이다. 책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뉜다. 1부는 MBC 다큐멘터리 <너를 만났다>에서 VR로 사망한 딸과 다시 만난 어머니의 이야기를 시작으로, 돌아가신 아버지를 인공지능 기계로 되살린 대드봇, 인간만이 영혼이 있다고 생각하는 건 착각이라고 믿는 로봇박사 이시구로, 인공지능과 사랑에 빠지는 남자의 이야기를 다룬 영화<그녀> 등을 통해 디지털 클론이 우리 세상에 이미 밀접하게 다가왔고, 점점 더 장벽이 허물어져 간다는 것을 보여주고, 2부는 그토록 바라는 디지털 불멸성을 이루기 위해서는 어떤 기술을 사용해야 하고, 어떤 기술이 개발되어야 하는지 소개한다. 더불어 기계에 인공적인 의식이 깃들 수 있다는 것이 단지 꿈에 불과한 것인지 실현 가능한 지에 대해서도 이야기한다. 



영혼은 존재하지 않는다



책을 읽어내려가면서 디지털 클론이 내가 맞냐, 아니냐, 그리고 복제인간을 받아들이느냐, 말 것이냐에 대한 나름의 답을 찾느라 바쁘다가, 가장 근본적인 질문인 '나라는 존재는 과연 무엇인가'라는 질문에서 완전히 속수무책이 되어버렸다. 사실 인간은 자기 자신을 범접할 수 없는 유일성을 가진 '나'라고 믿고 살아가지만 뇌과학에 따르면 자신이 알고 있는 '나'라는 존재는 환상에 불과하다. 내가 생각하고, 말하고, 행동한다는 것은 모두 착각인 것이다.  '나'는 허상이고, 그동안의 경험으로 쌓인 정보들을 바탕으로 내가 살아가지는 것이다. 전혀 자유의지란 없는, 영혼 같은 것은 없는, 인생이라는 꿈을 꾸고 있는, 존재 아닌 존재인 것이다. 그렇다면 디지털 클론과 별반 다르지 않다는 것이지 않은가. 진짜, 진정한 나는 과연 있기나 한 걸까? 책을 읽어갈수록 의문은 더해가고 점점 더 수수께끼에 빠져든다. 



영원한 삶은 가능할까



미래 사회의 화두를 말하는 책이니 만큼 아직 뚜렷한 해답은 정해져 있지 않다. 그럼에도 인간의 불멸성을 위한 노력은 계속될 것이기에 상당히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다. 나의 생각은 책을 읽기 전과 후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기술이 더욱 발전되어 뇌 자체를 클라우드에 옮긴다 해도 그렇게 복제된 내가 불멸의 존재라고 할 수는 없을 것 같다. 지금 여기만이 전부인데 과거든 미래든 무슨 의미가 있을까 싶다. 물론 내가 디지털 클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든 상관없이 인간이 영원히 살아남기 위한 기술은 계속 발전해나갈 것이다. 그러는 동안 어쩌면 나의 인식도 변화될 지도. 아직 경험하지 못한 미래이니 무한한 가능성은 열어두어야 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