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자의 습관 - 스치는 일상을 빛나는 생각으로 바꾸는 10가지 비밀
최장순 지음 / 더퀘스트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음을 돌보고 싶어 시작한 독서를 생각에서 글로 그리고 삶의 일부로 흐를 수 있도록 도와준 책 <기획자의 습관>을 다시 읽었다. 개정판이 출간되었다는 소식이 반갑기도 했고, 오랜만에 그때의 감흥을 되살려보고 싶기도 했는데 역시나 만족스러웠다. 꽤 오랜 시간을 '왜 존재하는가'같은 철학적이고 성찰적인 질문에 빠져 있었는데 이제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라는 구체적이고 실체적인 질문에 더 집중해 봐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 잘 기획된 일상은 그 어떤 것보다 강하고 풍요롭다는 것을 새삼 깨닫는 시간이었다.



기획은 특정 대상에 대해 특정한 목적을 정하고

그 목적을 달성하는 데 가장 적합한 행동을 디자인하는 것이다.

<기획자의 습관> p30



'반복된 생활'은 우리 모두에게 주어지지만 누군가는 평생 굴레 안에서 갇혀 살고, 누군가는 굴레에서 빠져나와 자기 삶을 구축해 나아간다. 하루하루를 지루해하고 견뎌내며 살기를 바라지 않는다면 내일로 나아가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책은 기획이 기획자들에게나 필요한 특별한 일이 아니라 모든 사람의 모든 일상에 스며있음을 공감할 수 있는 예시들을 통해 보여주고 '차이'의 습관을 마련할 수 있는, 좀 더 나은 내일을 기획할 수 있는 기획자가 되어야 한다고 제안한다. 더불어 깔끔하면서도 진솔하게 더 나은 내일을 위한 작은 '차이의 습관'들을 소개한다. 



동일한 내일이 아니라 좀 더 다른 내일을 기획하기 위한 작은 차이의 연습은

지금 우리 생활을 다른 무언가로 바꿔준다. 이 작은 '차이의 습관'을 통해

우리는 생활의 진정한 의미를 발견할 수 있다.

<기획자의 습관> p037



그중 관심과 흥미를 일깨운 방법들을 간추려본다. 첫째, 익숙한 일상 속에서 미세한 변화를 섬세하게 관찰한 다음, 인사이트를 줄 것 같은 것은 일단 기록해두자. 여기서 생생한 사진은 필수다. 크리에이티브한 기획을 위해서는 '관찰과 기록'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둘째, 기존 지식을 겸손한 자세로 수용하되 남들이 제공한 지식에 머물지 않기 위해서는 공부(독서, 대화, 글쓰기)를 게을리해서는 안된다. 기존 담론을 성실하게 습득해야 비판도 극복도 제대로 할 수 있고, 끊임없이 공부해야만 새로운 가치에 다가갈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인간은 대화를 통해 살아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대화의 중요성이 크기 때문에 제대로 표현하고 들을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상대가 의미하는 바를 명확히 이해하려는 경청의 자세를 갖추어야 한다.


앞서 말한 관찰과 기록은 부족하지만 나름 조금씩 실천해오던 것이라면, 경청은 많은 노력이 필요할 것 같다. 성격이 급한 탓인지 대화할 때 내 이야기가 제대로 전달되어야 한다는 욕구가 크다. 상대의 대화가 끝나기도 전에 어떤 말을 할지 생각하기도 하고, 좀 더 멋지게 말하고 싶다는 생각에 말이 장황해지고 이야기가 산으로 가기도 한다. 게다가 상대의 말을 내 틀로 내 프레임으로 해독하기도 한다. 저자는 이런 나쁜 대화 습관, 즉 상대의 말을 온전히 이해하지 않는 태도는 현재에, 자기 세계에 갇혀버리게 한다고 지적하면서 대화는 상대의 지식을 공부하고 내 지식을 견주어 보다 나은 것으로 채워가기 위함이기에 어렵지만 상대의 이야기를 상대의 의미로 이해해 주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누구나 잘 알지만 간과하기 쉬운, 알면서도 실천이 어려운 작은 차이들을 책을 통해 다시 한번 상기시키고 새롭게 각오를 다져본다. 멋진 일상에 필요한 것은 현재화된 기획에 있음을 기억하고, 꾸준한 '차이'의 힘으로 중력을 극복해나가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