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나를 위로하는 중입니다 - 상처를 치유하고 무너진 감정을 회복하는 심리학 수업
쉬하오이 지음, 최인애 옮김, 김은지 감수 / 마음책방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믿기로 선택하면 믿음이 긍정을, 긍정이 강인함을,

마침내 강인함이 믿음을 현실로 만든다.

의심하기로 선택하면 의심이 불안을, 불안이 방관을,

마침내 방관이 의심을 현실로 만든다. / p.330

남들에게는 아무 문제도 아닌 일에 매달려 전전긍긍하고, 답답할 때가 있다.

뭐가 문제인 걸까? 왜 나는 그냥 넘기지 못하고 괴로워하는 걸까?

오로지 나만이 이해할 수밖에 없을 것 같은 감정을 해결하는 방법은 딱 한 가지다. '내가 나를 믿고 위로해주는 것' 그것뿐이다.

이 책<지금 내가 위로하는 중입니다>은 타인은 이해하지 못하는 자신만의 상처를 스스로 치유하고 극복할 수 있는 이야기를 들려준다. 저자 자신의 경험과 실제 상담 사례를 통해 독자에게 자신의 마음을 들여다보는 법을 일러주어 '있는 그대로의 나'를 인정할 수 있게 돕는다.

책은 34가지의 '심리효과'에 조곤조곤 설명해주고 있지만 전부 나에게 해당되지는 않다보니 부분부분 재미를 느끼지 못한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지루하고 어려운 심리학을 쉽게 설명해주고, 언제라도 자신에게 필요한 부분을 찾아볼 수 있으며 묻어둔 감정들을 발견하고 새롭게 정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있는 책이다.

내면이 기쁘면 세상도 기쁘게 보이지만,

내면이 불안하면 세상은 온통 불안한 모습으로 비친다.

P.42

나를 옭아매는 감정 중 하나는 '자기중심 효과'('나'를 문제의 가장 핵심에 두는 것)이다.

저자는 자기중심적 감정 특성이 강한 사람은 '상상과 현실을 동일시 하기 쉽다'며 이들은 '스스로 그렇다'고 여기는 착각에 매여 있다고 주장한다. 공감되는 내용이다. 나는 내가 보는 시각이 마치 사실인 양 단정하고 행동으로 옮길 때가 종종있다. 예를 들면 '내가 없으면 엄마의 하소연을 들어줄 사람이 없다', '시댁 식구들은 나를 불편하게 생각한다'라고 믿고 있다. 이는 분명 내 머릿속 상상이다. 나는 상상과 현실을 동일시한 탓에 하지 않아도 될 걱정과 두려움에 사로잡혀 행동한다. 주체적인 삶을 원한다면 상상과 현실을 명확히 구분하고 경계짓는 일이 중요하다.

"어떤 문제는 단지 상상에 불과하며 내가 생각한 것과 전혀 다를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다."

상대의 감정에 신경 쓰느라

자신의 감정을 소홀히 대하다.

P.149

나를 괴롭히는 감정 중 하나는 '융합 효과'이다. 완전히 분리되지 못한 심리 상태가 성인이 된 후 인간관계에 불안함을 갖게 만든다. 어릴 적부터 엄마는 내게 자신의 고민을 털어놓았다. 자연스럽게 나는 엄마를 돌봐주어야 하는 사람으로 인식하게 되었고, 엄마의 감정에 지나치게 신경 쓰게 되어 깊은 불안감이 자리 잡았다.

만약 엄마가 힘든 상황에 놓이면 나 역시 그 상황에 휘말리는.

사랑으로 시작된 융합이지만 결국 사람은 누구나 자기 인생밖에 감당하지 못한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

나도 모르는 사이 내 감정의 중심에 엄마의 희노애락을 두고 살았다.내가 애쓴다고 엄마의 인생을 바꿀 수 없다. 엄마의 인생은 엄마가, 내 인생은 내가 감당해야 할 몫이다.

"융합속에 사는 사람은 진정한 행복을 느끼지 못한다. 오히려 공허와 불안, 고통에 늘 시달린다."

자신의 주관에서 한 걸음만 물러나 전체를 보면 무엇에 집중하고 무엇을 중요시해야 하는지가 보인다.

그리고 그것이 바로 삶의 지혜다.

P.177

책은 상대를 원망하는 마음보다는 내가 느끼는 감정의 배후에 과연 무엇이 있는지 제대로 파악하는 일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하며 내가 이해하지 못했던 그들도 자신의 생존을 위한 선택이었으며,

원치 않았던 ‘운명’들도 결국 ‘나다움’으로 단련시키는 훈련이었다는 것을 이해시킨다.

문제는 남이 아니라 내가 나 자신의 아픔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다. 내가 나를 품고 안아줄 수 있다면 남이 뭐라하든 당당히 살아갈 수 있다. 자신의 마음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는 지, 자신이 어떻게 느끼고 어떤 감정을 겪고 있는지 들여다보자. 나를 위로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사람은 바로 나 자신이란 걸 잊지 말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