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몸에 독이 되는 탄수화물 - 스웨덴 국민의 23%가 실천하는 당질제한식의 모든 것!, 개정판
에베 고지 지음, 한성례 옮김 / 이너북 / 2019년 11월
평점 :
절판


내가 알고 있는 나쁜 음식은 삼겹살, 튀긴 음식, 버터 같은 고지방 음식이다.

좋아하는 빵, 케잌류도 당기는 대로 먹지는 않는다. 대신 고구마, 밤, 호박 같은 건강한 간식을 택한다.

그리고 소식을 위해서 견과류가 많이 들어간 플레이크도 자주 먹는다. 나름 나쁜 음식은 적게 먹고 과식은 피한다. 하지만 이 책<내 몸에 독이 되는 탄수화물>을 읽고 내 식단이 완전히 잘못됐음을 깨달았다.

식사를 통해 섭취해야 하는 당질(탄수화물)의 최소 필요량은? '0'

당질은 인체에 필수영양소가 아니다.

책은 당질 과다의 심각한 위험성을 밝히고 있다.

암, 심장질환, 폐렴, 뇌혈관질환, 정신질환, 당뇨병. 이 모든 질병의 주요 원인은 바로 당질 과다 섭취라고 저자는 확신한다.

탄수화물을 과다 섭취하면 혈당치가 오르고 높은 인슐린 상태가 되며 이는 만병의 근원입니다.

당질을 제한하면 혈당치가 안정되고 혈액순환이 좋아지며 인슐린 분비가 억제되어 대사가 안정됩니다. 이러한 당질제한식은 현대인을 괴롭히는 갖가지 병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습니다.

당질제한식은 단순히 고혈압이나 당뇨병 같은 고치기 힘든 환자들만을 위한 식이요법이 아닙니다.

p.222

아직 질병이 발견되지 않았다고 안심할 수 없다. "지나친 당질은 모든 사람에게 위험하다."

위에 질병만으로도 충격적인데 혈액순환, 노화, 역류성 식도염, 알레르기, 알츠하이머 등 헤아릴 수도 없이 많은 질병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경고한다.

얼마 전 '저탄고지'에 관한 방송을 봤을 때보다 더 놀랍다. 그리고 고맙다. 이제라도 알고 줄여나갈 수 있어서.

지방질은 많이 먹어도 암에 걸릴 위험은 크지 않습니다.

중요한 사실은 당질을 많이 먹으면 암에 걸릴 가능성이 현저히 높아진다는 점입니다.

단백질로 암이 생길 위험은 지방질과 당질의 중간 정도입니다.

p.24

그래도 위안이 되는 건 치료법이 있다는 것이다. 바로 '당질제한식'이다.

저자는 탄수화물(당질)을 효과적으로 제한하는 것만으로도 대부분의 질병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단언한다.

당질제한식은 쌀, 밀, 감자 등에 많이 함유된 당질을 가능한 한 섭취하지 않는 식이요법이다.

쉽게 말해 밥, 빵, 면류 등의 주식 대신 단백질과 지방직을 많이 포함한 부식을 충분히 먹는 식사다.

저자는 당질이 많은 일부 식품을 기억해 두었다가 그 식품만 피하면 되므로 어렵지 않다고 말한다.

하지만 내겐 너무 어렵다! 거의 모든 식사를 탄수화물과 적당한 단백질로 해왔는데 무엇으로 대체할 수 있을지 막막하기만 하다.

가능한 한 주식을 줄이고 감자, 고구마 같은 전분류와 설탕처럼 당질이 많은 식품을 되도록이면 피해야 합니다. 육류와 생선은 마음껏 먹어도 됩니다. 볶거나 튀긴 음식도 괜찮습니다. 극단적인 과식만 아니라면 실컷 먹어도 좋습니다.

p.201

부록으로 식품별 당질의 양과 먹어도 좋은 식품, 피해야 할 식품들도 정리되어 있다.

주식을 먹더라도 가급적 현미나 통밀가루 혹은 도정을 거치지 않는 메밀 같은 곡류를 선택하고 가급적 저녁에 주식을 먹지 말라고 권한다. 밤 시간대에는 포도당을 소비하는 운동이 적고 잠자리에 들면 상승한 혈당치를 떨어뜨리기 어렵기 때문이다. 식후 30분 산책도 고혈당을 어느 정도 억제할 수 있다고 한다.

아직은 막막하지만 이제라도 탄수화물이 '독'인줄 알게됐으니 감사할 따름이다.

건강해질 수 있고, 예뻐질 수 있고 오래 살 수 있는데 얼마나 감사한 일인가.

물론 한 번에 식생활을 개선하기는 쉽지 않을 것 같다. 하나씩 바꿔 나간다는 각오로 긴 호흡으로 시작해보자.

잘 찾아보면 내게 맞는 당질제한식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