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에 한 번은 읽어야 할 주역 옛글의 향기 9
공자 엮음, 최상용 옮김 / 일상이상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생에 한 번은 읽어야 할 주역

사서 삼경 (대학, 논어, 맹자, 중용 4서와 시경 상경 역경 3경)의 하나인 주역, 역경을 완역한 책이다. 역경의 해설서의 십익의 완역도 포함하고 있는데, 계사상전, 계사하전, 설괘전, 서괘전상, 서괘전하, 잡괘전만 담고 있다. 서괘전은 상하로 나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나누기도 하나 보다. 그렇다면 십익이 아니라 십일익이란 말인가? 아무튼 단전(상,하), 상전(상,하), 문언전 등 5개의 해설서는 빠져있다.

위편삼절, 책(공자 시대에는 종이가 아닌 대나무를 이어 만든 ) 죽간을 묶은 가죽 끈이 세번이나 끊어질 정도로 공자가 많이 읽었다는 책이 주역, 바로 역경인 것이다. 역경의 해설서인 십익을 공자가 지었다고 전해 오지만, 아니라는 이야기도 많이 있다. 아무튼 주역을 바로 읽기 보다 십익을 훑어 보고 주역을 읽는 것이 도움이 된다는 것이 책을 엮은 최상용 저자의 의견이다.

개인적으로 사서 삼경 중에 상경을 제외하고, 사서와 시경, 그리고 역경(주역)까지 모두 읽어 보았다고 주역관련 책을 오랫동안 여러권 (입문 수준에서 전문가 들이 깊게 연구하는 두껍고 전문적인 수준)을 읽어 보았지만 읽을 때마다 참으로 어렵고 이해하기 쉽지 않은 책이다. 이해 할 수 있는 책이 아닐지도 모르겠다. 단순히 점을 치는 책이라 보는 이들도 있고, 대자연의 변호 법칙을 담고 있는 심오한 책이라는 의견도 있는 참으로 다양한 모습을 간직한 책이라 할 수 있다.

이 책에서는 전통적인 산가지로 점치는 법, 요즘 시대에 맞게 동전으로 점치는 방법, 간편하게 점치는 법을 책 후반부에 담고 있어, 점에 관심 있는 분들은 이부분을 참조 하면 될 것 같다.

일건천, 이태택, 삼리화, 사진뢰, 오손풍 육감수, 칠간산, 팔곤지를 외우고 또 외웠던 날들이 이책을 읽으며 떠올랐다. 양효와 음효, 8괘와 64괘, 중과 부중, 정과 부정등 용어 해설이 담겨 있는 도입부를 보며 과거 많은 시간을 들여 주역을 이해해 보려고 파고 들었으나 뭔가 살짝 알 것 같다가고 헷갈리고 오히려 하나도 모르겠으며 점점 더 복잡해 지고 미궁에 빠져 헤매였던 기억이 떠오른다. 그래서 너무 어렵고 복잡하게 생각하지 말고 현재 시대에 맞게 풀어낸 책들을 몇권 읽어 보았으나 , 그 역시 읽는 순간에는 잠시 머리를 끄덕이다가 다 읽고 나면 내가 무엇을 읽었는지 무엇을 알게 되고 깨우치게 되었는지 금새 잊어 버렸다.

이 책은 철학박사이자 명예이학박사이며, 동양학을 인문학적 관점에서 해석하고 연구 하고 있다는 엮은이가 십익을 포함하여 시운 우리말로 풀어 썼다고 되어 있다고 하여 기대가 컸는데, 책을 읽으면서, 그리고 읽고 나서 이전의 내가 알고 있던 주역의 수준에서 더 나아가지 못한 느낌이 들어 아쉬웠다. 하지만 주역이 무엇인지 주역을 처음 접하는 분들에게는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나는 주역을 어설프게 알다보니 이 책을 읽으면서도 계속 헤매고 있다는 느낌이 들었다.

한동안 다른 책을 읽다가 머리가 맑은 날 다시 이 책을 , 그리고 주역 관련 책들을 다시 읽어봐야겠다.

'역경'을 곁에 두고 옛 성인과 현인의 지혜를 통해 일상생활이나 주요한 결정을 앞두고서 판단의 근거로 삼아 보다 유익한 삶이 되시길 기원합니다. - 들어가는 말 마지막 문단

#인생에한번은읽어야할주역 #주역 #역경 #십익 #역경완역본 #주역완역본 #최상용 #서평 #서평이벤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