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정요 강의 - 리더십, 천 년의 지혜를 읽다
타구치 요시후미 지음, 송은애 옮김 / 미래의창 / 2018년 5월
평점 :
절판


정관정요강의, 리더십 천년의 지혜를 읽다.

마키아벨리 군주론과 더블어, 리더십의 바이블이라 불리는 오긍의 정관정요를 다 읽지 못하고언젠가 읽어야지 벼르고 있었는데, 마침 현대인을 위해 리더십관점으로 새롭게 해석한 일본인 저자의 정관정요강의를 만나게 되어 사뭇 기대가 되었다. 중국 당나라 시대에 씌여진 중국 작품을 현재 일본저자가 어떻게 해석하고 이야기를 들려줄까가 가장 큰 관심사였다. 직장 생활을 하며 어떤 조직이 잘되고, 리더는 어떠해야 하는지 생각을 많이 하고 있었기에 크게 와 닿는 주제이기도 했다.

저자는 20대 나이에 생사의 갈림길에서 노자를 만나 40년 이상 동양 사상을 연구 해 오고 있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이 책은 정관정요 뿐만 아니라 중국의 역사설명, 정관정요가 나온 시대적 배경과 의미, 논어, 서경, 사기, 주역 등을 언급하기도 한다. 동양 고전을 읽다보면 중국 역사나 사서 삼경 등의 인용 등에 대해 궁금증이 생기는 경우가 있는데, 사전 지식이 없는 사람들도 손쉽게 이 책을 읽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누구나 손쉽게 정관정요의 리더십을 읽을 수 있게 만들었지만, 일본에 전달 된 정관정요가 중국이나 우리나라와 다른 듯하고, 한자의 차이 인지, 일본에서 일본 나름의 해석이 오랫동안 계통을 이어왔는지 정관정요 원문을 해석한 내용을 비교 해 보니, 큰 틀에서는 비슷할지 모르나 세부적으로 다르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같은 논어라고 하더라도 우리나라에 나와 있는 책마다 해석이 다르게 나오는데, 일본에서 해석이 다르다고 뭐라고 할 것은 아닌 것 같다. 저자가 현대적으로 해석한 부분은 원문과 다소 거리가 있다고 느껴지는 것들이 있었지만, 표면적인 내용이 아니라 원문의 뜻을 현대적으로 이해하기 쉽게, 그리고 저자의 통찰을 덧대어 해석 한것한 것 보여진다.

정관정요 전문을 다 읽기 부담스럽지만, 정관정요가 어떤 책이며, 리더십이나 조직의 흥망성쇠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쉽게 읽을 수 있는 괜찮은 책이라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