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통의 곁에 우리가 있다면 - 재난 트라우마의 현장에서 사회적 지지와 연결을 생각하다
채정호 지음 / 생각속의집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채정호 교수님의 <고통의 곁에 우리가 있다면>이야기를 열어보았다. 인간이 예측할 수 없는, 통제할 수 없는 상황을 맞닥뜨렸을 때 느끼는 불안과 공포가 분리 즉 사람 간의 단절을 넘어 타인에 대한 혐오로 이어지는 상황을 이해하기 쉽게 들려주신다. 어려움이 닥쳤을 때, 우리가 견딜 수 있는 건 누군가와 연결되었다는 우정, 사랑, 친밀 같은 '정서적 연결감'때문이라는데 그 말씀에 공감한다. '함께라서 좋다'는 표현을 즐겨 한다. 함께라서 소중한 것들을 발견하고 고마움을 느끼는 마음이다. 혼자였다면 나는 이만큼 회복하지 못했을 것이다. 여전히 불쑥 일상 중에 힘들고 아픈 마음이 몰려오지만 그래도 잘 흘려보내고 있다.

살아 있으면 살아진다는 말이, 우리가 함께 서로의 곁을 지키며 살아갔으면 좋겠다는 말이. 지나가는 내 발걸음을 붙잡았다. 사람에게 새겨진 가슴 아픈 고통을 어떻게 다루는지 알고 싶었다. 그렇게 채정호 교수님이 들려주시는 <고통의 곁에 우리가 있다면> 이야기와 인연이 되었다.

이야기를 들으면서, 떠오른 기억들은 오래전 지나간 나의 이야기이거나 타인의 이야기였다. 그때도, 지금도 이해할 수 없었던 걸 헤아려 보는 시간을 갖게 되어 개인적으로 무척 유용한 시간이 되었다. 얼기설기 얽힌 마음의 병을 어떻게 풀어야 하는지 알 것도 같은데, 왜 그대로 안 되는 걸까.. 아기도 아장아장 걷기 위해서 수없이 주저앉았다 일어나는데.

122쪽까지 읽고는, 왜 이런 종류의 사람들이 세상에 존재하는 걸까? 아니, 왜 이런 짓을 저지르는 것일까? 아무런 관련이 없는 사람이자 타인의 고유 정보로 나쁜 짓을 일삼는 사람들의 심리가 궁금하다. 이런 일을 겪도도 채정호 교수님께서 일상을 살아가는 건, 마음을 잘 다루는 정신과 전문의이기 때문일까? 여기서 내가 집중해야 할 것은 자신을 더욱 유심히 들여다보아야 한다는 것. 어떻게 살아가는지 나의 일상을 살펴보아야 한다는 것. 지금의 내가 이상한 상태가 아니라 그럴 수 있다고 이해하며, 내가 할 일을 하면서 살아가는 것이다. 달라진 일상이지만 지금 이 순간을 느끼고 살아간다는 것을 부드럽게 보자.

눈으로 들어오는 글자들이 글을 이루고 눈앞에 펼쳐지듯이 그려지는 이미지가 고통이었다. 감정 이입 때문에 힘들었다. 이 세상을 살아가는 우리들이 겪는 다양한 아픔이.. 그 아픔을 치유하는 대안이 현실이 된다면 더 좋은, 안전한 세상이 될 테지만. 이야기를 마주하는 사이사이 마음의 환기가 필요했다. 


#고통의곁에우리가있다면 #채정호교수님 #재난트라우마 #정신과전문의 #심리치유에세이 #생각속의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