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는 뒤러의 자화상을 보고 위로와 감동을 받았습니다.
1. 당신에게 위로와 감동이 되었던 그림은 어떤 것입니까?

모네. 대성당. 햇빛을 붙잡고 있는 듯한 그림.
작가가 뒤러의 빛에서 희망을 발견했듯이 나도 그 반짝이는 햇빛에 따스한 애정을 느낄수 있었다. 그 시간을 붙잡아서 내게 전달해주는 것같은 모네의 그림들을 통해 처음으로 그림이 위로가 된다는 것을, 한 장의 그림이 큰 영향력을 가질 수 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된 계기였다.

2. 당신이 다른 사람들에게 추천하고 싶은 그림은 무엇입니까?

천경자. 여성누드. 어느 것도 가리지 않고 정면을, 관객을 바라보는 시선을 가진 그림. 난 여성임이 부끄럽지 않고, 난 감출 것이 없는 사람. 여성이면 이래야 한다는 온갖 굴레와 편견을 깨뜨리려 하는 그림.

3. 이 책에 나온 그림중에
맘에 들거나 나누고 싶은 생각이 있다면 나누어주세요

147p. 군계도
이토 자쿠추

선명한 빨간 벼슬, 현란한 꼬리 무늬. - 강한 생명력. 모두가 다 주인공인 닭들. 우리는 누군가의 들러리가 아니라 각자의 주인공. 시장에서 활기를 받는 것처럼 밝고 건강한 에너지를 받는 느낌

하지만 그림은, 이런 평범한 인간에게도 무언가를 강요하거나 알랑거리며 맞춰주지 않으면서도, 인간의 깊은 부분에 숨어있어 평소에는 자기 자신조차 눈치채지 못했던 ‘감동하는 힘‘을그저 눈앞에 있는 것만으로 불러일으킵니다. 그저 눈앞에 있을 뿐인 그림. 그러나 우리들이 그것에 가까이 다가서려고 하는것만으로도, ‘있음‘ 자체로 시각만이 아니라 몸과 마음 전부를흔들어놓는 그림. - P13

관객이 그림을 보아야 비로소 무언가가 그림 속에서 모습을 드러내는 것입니다. 작품이 무언가를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제 안에 있는 무언가가 그림 속에 나타납니다. 클레는 예술이란 보이지 않는 것을 볼 수 있게 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는데, 제가 받은 느낌 또한 바로 그랬습니다. - P1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화하기

가치관. 좋은부모.

"파트너를 헐뜯으며 쓸모없는 인간이라느니 형편없는 인간이라고 한다면 듣는 사람은 어떻게 생각하겠어? 정말 자신이 나쁜 사람이라는 생각이 들기 시작하겠지. 함께 있으면 내가 정말 좋은 사람이라는 느낌이 들도록 만드는 사람인지 자문해봐. 나로 하여금 자기 비하를 느끼게 하는 것만큼 파괴적인 행동은 없어. 내 평생의 교훈은 이거야. 내 남편이 스스로 자신을 세상에서 가장 훌륭한 남편이라고 느끼게 만들어주자. 타인을 비난한다면 그 말을 듣는 사람의인생을 망치는 거야. 그것만큼 나쁜 건 없어."
각자 질문해보자. 나의 파트너가 나로 하여금 자기 존중감을 느끼게 만드는가? 만약 그렇지 않다면 이는 심각한 위험신호다. - P153

"결혼 생활의 목표로 삼는 행복이 계속 움직인다는 걸 인정해야해. 무슨 일을 하든 거기서 더 해야 해. 살아 있는 한 계속 더 많은걸 필요로 하니까. 마찬가지로 관계도 성장하고 변화한다는 걸 받아들여야 해." - P29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러실험을 통해서 우리 시각의 착각이나 감정의 오해를 보여줬다고 해서 감정의 깊이가 없다는 결론에 도달했다는것이 동의가 되지 않는다.

뇌연결망이 한번에 한과제만 담당한다는것이 무의식이 아무런 역할도 하지 않는다고 할 수 없다. 184-185p
짧은 순간 다음 무의식이 그 신경체계를 이용할수 있다

199p
모든 의식적 생각은 감각적 정보의 의미 있는 해석과 관련한다

우리의 모든 의식이 감각정보의 해석으로 인한 합이라면 왜 개인은 다 다를까, 한 집에, 같은부모, 거의 같은 외부적 감각을 공유하지만 아이들은 다르다. 어려서부터.

책에서 배운것. 시각적 오류, 시각적 무시. 한번에 한가지 정보처리.


286p
원만한 부모, 평범한 환경가운데 커도 악인, 사이코패스가 나오는 것을 어떻게 해석?

매우 수수께끼 같은 형태로 내면의 진실을 드러낼 수 있다는 프로이트학•파에 빠졌다면 더욱 커진다. 그리고 우리가 ‘꼬마 한스‘의 이야기에서 보았듯 그 제시된 ‘분석‘에 저항할 때 이는 간편하게도 ‘방어‘라고 설명되고,
심지어는 그 분석이 맞는다는 확인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우리가 보아왔듯이 한 사람의 행동을 몰아가는 감정과 동기, 신념을 헤아리려고 시도하는 것은 시작부터 파멸이다. 문제는 정신적 깊이를 헤아리는 것이 어려운게 아니라 헤아릴 만한 정신적 깊이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 P154

중요한 것은 뇌가 광활한 신경 회로망을 넘나드는 협력적인 계산을사용한다는 사실 자체가 이러한 신경망은 한 번에 하나씩 거대하고 통합된 단계를 만든다는 사실을 시사한다는 점이다. 기존 컴퓨터에서처럼 거의 미량에 가깝도록 작은 정보처리 단계들을 통해서가 아니라는 의미다.
나는 1초당 여러 차례 움직이는 이 거대하고 통합된 일련의 단계를 생각의 순환이라고 부르려고 한다. - P183

우리의 의식적 집중을 끄는 것이 사물이든 과제이든 간에 일반적으로뇌의 많은 부분과 관련이 있다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에 따라 우리의 의식적 집중을 끄는 두 가지 과제 또는 문제에는 보통 심각한 개입이 발생한다. 뇌의 계산이 지닌 협력 방식은 두 가지 개별적인 과제를 수행하는단일한 뇌 연결망을 막기 때문이다. 이는 우리가 의식적으로 한 번에 오직한 문제에만 집중할 수 있다는 의미일 뿐만 아니라, 다른 문제에 대해서는 무의식적으로도 생각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여기에 관여하는 뇌연결망은 중첩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 P184

문제는 우리의 신경 기관의 여러 부위와 관련되며, 그 기관의 각 부위는오직 한 번에 한 가지 일만 할 수 있다. 특히 무의식은 우리가 다른 과제에 의식적으로 집중하는 동안 까다로운 지적이고 창의적인 도전을 해나갈 수 없다. 그러한 정교화된 무의식적 생각에 필요한 뇌 회로는 그 순간의 의식적인 뇌 처리 과정에 의해 ‘차단‘되어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무의식적 생각‘과 ‘숨겨진 동기‘에 관한 직관을 바꾸고 행동이 여러 개의 자아(예를 들어 프로이트의 원초아, 자아, 초자아)들 간에 벌어진 전투의 산물이라는 의혹을 제거할 것이다. - P185

기분은 우리가 주의를 기울일 수 있는 또 다른 대상일 뿐이다. 챕터 5에서 보았듯 감정은 신체 상태의 해석이다. 따라서 감정을 경험하기위해서는 외부 세계의 관련된 측면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신체 상태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필요하다. 해석은 신체와 세계를 함께 잇는
‘이야기‘를 부여해 준다. - P203

말하자면 우리는 멈출 줄 모르는 즉흥 시인이며, 감각적 입력으로부터한 단계 한 단계씩 끊임없이 의미를 만들어내는 정신 기관에 의해 동력을 얻는다. 그러나 우리는 그저 만들어진 의미를 인식할 뿐, 그러한 의미가 생겨난 과정은 감춰져 있다. - P204

그러나 마음이 현재에 대처하기 위해 과거의 생각과 행동을 계속해서재창조해 나가는 선례의 기관이라면, 우리 각자는 단순히 한 묶음의 성격적 특성이 아니라 뚜렷이 다른 과거 경험을 지닌 곳이 될 것이다. 우리는 마치 폴립과 폴립이 쌓여서 한없이 다양한 형태를 이루는 산호와 같다. 지금 우리를 독특하게 만들어주는 것은 개인적이고 특별한 역사다.
우리 각자에게는 생각과 행동의 선례를 따르는 특별한 길이 있다. 요컨대 우리는 인생의 끝없는 다양성 때문에 지금 이 순간 특별한 것이다. 우리에게는 생각과 행동으로 층층이 이뤄진 역사가 있으니까. - P286

따라서 우리는 정신세계로부터 숨겨진 냉혹한 힘에 의해 움직여지는것이 아니다. 그 대신에 우리의 생각과 행동은 과거의 생각과 행동이 변신한 것이고, 우리는 가끔 우리가 어떤 선례를 고려하고 어떻게 변형할것인지 결정하는 데 상당한 자유를 누리고 결정적인 재량권을 가진다.
오늘날의 생각과 행동이 내일의 선례인 것처럼, 우리는 말 그대로 순간순간 자기 자신을 재구성하고 재창조한다. - P3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독교 철학자 달라스 윌라드는 "영적으로 건강해지려면 어떻게해야 하나요?"라는 질문을 받고는 잠시 생각한 후 (이제는 유명해진)이런 답변을 내놓았다. "당신의 삶에서 조급함을 가차 없이 제거해야합니다. - P55

"기도는 하나님의 관점에서 현실을 바라보는 행위다." (필립얀시)하나님은 우리에게 "가만히 있어 내가 하나님 됨을 알지어다"라고 말씀하시는 분이다. - P63

"가만히 있어 내가 하나님 됨을 알지어다." 속도를 늦추라. 하나님이 진정 누구신지 기억하라. 자신이 진정 누구인지 기억하라. 이것이 기도다. - P68

목회 사역을 시작하고 10년이 훌쩍 넘은 지금, 나는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다. 현대인이 기도하지 못하게 막는 가장 큰 장애물은 하나님의 사랑을 받아들일 수 없는 것이라고 말이다. 우리는 예수님이 소개하시는 능력이 많으시고 선하시고 우리가 알 수 있고 사랑이 풍성하신 하나님을 잘 믿지 못한다. "하나님은 사랑이심이라." 이것이 하나님의 정체성이고, 그분의 성품을 이 한마디로 요약할 수 있다. 우리는 머리로는 이 말을 믿지만 더 깊은 수준, 우리의 감정과 뼛속 깊은 곳에서는 이 말을 신뢰하지 않는다. - P80

"이름이 거룩히 여김을 받으시오며"는 지금 여기에서 하나님을 뵙고, 혼란의 한복판에서그분의 임재를 느끼고자 하는 갈망의 표현이다. 그들이 부르는 찬송은 이런 의미가 담긴 기도다. "하나님, 어디 계십니까? 우리는 당신을 뵙고 싶습니다. 당신은 사랑의 아버지십니다. 혼돈 속에서 피난처가 되시고 성난 폭풍 속에서 고요가 되시며 포로된 자에게 자유를 주시겠다고 약속하셨습니다! 그러니 친히 말씀하신 당신의 모습을 드러내소서. 이곳에서 당신을 보여주소서." 이것이 가장 깊은 감옥에서흘러나오는 아카펠라 찬양의 자막이다.
이것은 저항적 경배다. 그리고 가장 강력한 경배다. 심리학자 데이비드 베너의 말을 들어 보자. "기쁘고 행복한 순간에 하나님을 만나기는 비교적 쉽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는 하나님의 복을 받았다고여긴다. 하지만 의심, 우울, 불안, 갈등, 실패를 통해서도 하나님이복 주심을 믿고 그분의 임재를 인식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임마누엘이신 하나님은 우리가 언제나 기꺼이 선택할 만한 순간뿐만아니라 절대 선택하지 않을 순간에도 동일하게 계신다 - P89

오블레이트 신학대학원의 로널드 롤하이저 교수는 이렇게 단호하게 말한다. "성도(聖徒)가 된다는 것은 감사에 힘입어 사는 것, 그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오직 한 종류의 사람만이 세상을 영적으로 변화시킨다. 감사하는 마음을 가진 사람이다. - P158

소통은 관계에 필수적이다. 구하려면 취약해져야 하기 때문이다.
누구에게든 무언가를 요청할 때는 거절당할 위험, 최소한 실망할 위험이 따른다. 우리가 하나님께 무언가를 구하기 전까지는 그분에게실망하거나 놀랄 수 없다. 구하지 않고서는 하나님에 대한 신뢰를 쌓을 수 없다. 구하지 않으면 하나님과 관계를 맺을 수 없다. 구하지 않으면 하나님을 자유로운 관계적 존재로 만날 수 없다. 그저 그분을 우리가 무엇을 원하는지 스스로 의식하기도 전에 우리의 욕구를 채워주는 기계처럼 여기게 된다. 구하는 일을 수단으로 하여 우리는 하나님이 우리가 누리도록 설계하신 그분과의 관계를 구축해 나간다. - P16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he word fellowship (koinōnia) is an interesting one. Used in classical Greek as a favourite expression for the marriage relation-ship, the most intimate bond between human beings, - P2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