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학문은 진리를 탐구하는 것이고, 그래서 서로 일맥상통한다.
운명, 낙천, : 하나님의 말씀과 비슷하다. 진리는 천하에 드러나 있기 때문이다.

‘사서삼경‘이라고 할 때 삼경이 바로 <시경>·<서경>·<역경》인데, 역경은 그중에서도 최고의 경전으로 대우받는다. 주역은 ‘주나라의 역‘이라는 뜻이다. 원래의 역경은 주나라가 아닌 은(殷)나라(기원전 1600년경~기원전 1046년경)의 점인(人)들이 정립했다. 그러다가 은나라를 멸하고 들어선 주나라가 자신들의이름을 붙여 주역이라 명명했기에 오늘날 주역이라는 이름이더 익숙한 것뿐이다. - P8
역경은 ‘역에 대한 경전‘이라는 뜻이다. 여기서 역(易)은 ‘세상만물의 전개 법칙‘을 가리킨다. 갑골점을 통해 하늘이 계시한세상 만물의 전개 법칙을 담고 있는 것이다.
세상 만물의 전개 법칙(존재 법칙)을 담고 있으므로, 이는 그대로 인간의 삶과 이 세상에 대한 근본 통찰에 해당한다. 이 때문에 역경이 단지 점치는 책에 머물지 않고 유교와 도교의 최고 경전이 된 것이다. 역경에 심취했던 공자는 길을 떠날 때도 항상 역경을 지니고다녔고, 밤에는 머리맡에 두었다가 잠들기 전 언제나 역경을 읽었다. 그리하여 책을 묶은 가죽끈이 세 번 끊어지도록 역경을읽고 또 읽었다는 ‘위편삼절(三絶)‘의 고사를 남겼다. - P9
길(吉)이란 바라는것을 얻은 경우‘를 말하고, 흉(凶)은 ‘얻지 못한 경우‘를 말한다. 회는 바라는 것을 얻긴 얻었는데 무언가 마음에 걸리는 것(미련, 아쉬움, 회한 등)이 남는 경우‘를 말한다. 린()은 ‘바라는 결과를 얻긴 했지만 그 주어진 결과가 좀 인색한 경우‘를 가리킨다. - P30
역경에서 ‘정(貞)하다‘는 표현은 ‘어려운 상황에서도 꺾이지 않고 처음에 품었던 뜻을 올곧게, 굳게 지킨다‘는 의미로 쓰이고 있다. ‘꺾이지 않는 마음‘을 가리킨다 - P38
命은 원래 하늘이 내린 천명(天命)을 뜻한다. 또한사람은 누구나 태어날 때부터 하늘로부터 무언가 받은 명이 있고, 이를 이루라고 주어진 것이 사람의 ‘목숨‘이라는 뜻에서 ‘목숨명자로도 쓰이고 있다. 생명(生命), 수명(壽命)에도 명이 들어 있는데, 이는 천명을 완수하라고 주어진 것이 생명이고 수명이라는 뜻이다. 그렇다면 이제 비로소 운(運)과 명(命)이 합쳐진 운명(運命)이 무슨 뜻인지 알 수 있다. 운명이란 길흉의 질곡을 뚫고 자신에게 부여된 명을 향해 운전해 가는 것이다. - P44
가고자하는 바에서 의미가 생겨나기때문이다. 그리하여 모든 좋은 일이 길 위에서 벌어지는 것이다. 그래서 진리를 ‘길‘이라는 뜻의 도(道)라 말하는 것이다. [그림 기에서 군자가 인생 여행을 하는 동안 마주치는 괘 하나하나가 도요, 길이다. - P91
그 어원은 辛 (매둘신, 글자를 새기는 조각칼)과 이 합쳐진 글자인데, 글자를 새기는 조각칼로 무언가[E]를 새기는 모습이다. 이는 청동기에글을 새겨 넣는 모습을 형상화한 것이다
章의 원형적 의미는 타인과 구별되는 그 사람만의 일생의 핵심을 짧게 밝힌 글‘ - P1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