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 - 제1회 문학동네신인작가상 수상작, 3판 김영하 컬렉션
김영하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다른 사람들이 쓴 리뷰를 한참이나 훑어봤다. 책이 -또는 여타 예술 작품이 하고자 하는 말을 명확하게 알지 못했을 때 하는 행동이다. 평이 여러 갈래로 엇갈린다.

김영하를 잘 알지 못한다. 이 책은 영화로 본 살인자의 기억법을 제외하면, 내가 읽은 그의 첫 작품이다. ‘살인자의 기억법‘은 발상이 독특하여 인상 깊었다. 치매에 걸린 살인자가 만난 젊은 살인자. 그래서인지 이 책도 뭔가 특별한 것이 있을거라는 무의식이 발동했을까. 제목 또한 강렬했다.

소설 속 ‘나‘와 같은 사람을 만났다면 오늘의 나는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었겠다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그러나 스스로 자신이란 존재를 세상에서 제거해버릴 권리가 있다 해도, 타인이 그 ‘권리‘를 촉진시킬 ‘권리‘는 없다. 타인이 개입되어 있는 그 행위를 온전한 자기파괴권의 행사라고 인정할 수 없다. -자신의 도움을 받아 죽음을 선택하는 사람을 바라보는 사람이 느끼는 모종의 쾌감은 어떻게 설명해야 하는가.

미술과 연결지어 내용을 전개하는 방식은 흥미롭다. 자살조력자라는 직업을 -직업이라 부를 수 있는지는 의문이지만- 상상해낸 것이 20여년 전임을 가만하지 않더라도 그 역시 유별하다. 썩 유쾌하지는 않지만 말이다. 문장이 간결하고 매끄러워 쑥쑥 잘 읽히는 것도 장점이다. 드러내는 것이 위험하다고 간주되는 욕구에 대한 본능적인 호기심 또한 흡인력의 한 요소로 작용한다. 하지만 어딘가 모르게 불쾌함이 남는 건 어쩔 수 없다. 어째서 비상식적인 -섹스를 하면서까지 막대사탕을 입에서 떼지 않는, 권태를 깨뜨리기 위해 누군가가 지켜보는 것을 오히려 즐기며 자위를 하는, 커피를 요구한 뒤 느닷없이 옷을 벗어버리는, 물을 마시고 발작적으로 토하는 행동으로 기이하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게 하는 쪽은 여성인가. 작품 속 세 남성 역시 평범하지는 않다. 그렇지만 그들의 행동에는 내러티브가 있다. 단순히 남성 작가가 만들어낸 세계이기 때문에 이해할 수 있다고 말하기는 어려운 불편함이 있다.

이 책에 대한 이야기를 하다가 김기덕 감독이 떠올랐다. 그의 작품 속에 등장하는 여성 역시 대체로 무기력하고 묘한 행동을 한다. 때로는 파괴적이다. 상상 속 여성의 모습이 그러한데 그들이 현실에서는 여성과 어떻게 관계를 맺고 살아가는지 문득 궁금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