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디아의 정원 - 1998년 칼데콧 아너상 수상작 네버랜드 Picture Books 세계의 걸작 그림책 113
사라 스튜어트 글, 데이비드 스몰 그림, 이복희 옮김 / 시공주니어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몇 년 전부터 가끔씩 그림책을 본다. 이유는 알 것도 같지만 모르겠다. 주로 구입해서 보기 보다는 도서관에 맘에 드는 그림책이 있다거나 하는 등 기회가 닿을 때 읽는다. 그림책은 페이지 수가 적고 -당연한 말이지만- 글씨가 별로 없어서 왠지 모르게 그림책을 사는 것이 아까운 마음이 드는 이유에서이다. 누가 책을 사준다고나 하면 모를까 그림책 앞에서는 좀처럼 카드가 나가지 않는다.

그림책을 읽을 때도 그림책 아마추어답게 ‘감상하기‘ 보다 ‘읽는‘다. 몇 안 되는 글자를 읽고 내용을 파악하는 것으로 어쭙잖은 독서를 마치고선 그래서 하고싶은 말이 뭐야, 하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리고 대체로는 하고 싶은 말을 찾지 못한 채 다른 곳으로 생각이 흘러간다.

그림책 아마추어가 책을 찾는 방법은 당연히 베스트셀러 찾기다. 거기다 어딘가에서 상을 받은 작품이면 호감도는 급상승한다. 더해서 긍정적인 블로그 리뷰가 있다면 금상첨화!

이 책은 그간 쌓인 명성과 남의 카드가 조합되어 운명같이 만나게 된 책이다. 칼데콧상은 그림책계의 노벨상이라는 데 한 번쯤 읽어줘야지 지성인답지 않은가.🙈

리디아의 편지로만 이뤄진 이 책에서 리디아는 별다른 말을 하지 않으면서도 있는 한껏 자신을 드러낸다. 그림을 보지 않아도 리디아의 생김새와 표정이 눈에 보이는 듯하다. 좀처럼 웃지 않는 외삼촌에게 웃을 일을 만들어 주고픈 리디아의 사랑스러운 마음이 종이를 넘길 때마다 묻어난다. 이렇게 인물 묘사를 잘하니 상을 줄 수밖에 없었겠다 싶다.

그나저나 리디아는 왜 리디아가 아니라 리디아 그레이스로 불리고 싶었던 걸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